한국인의 ‘젊은 뇌졸중’ 발병 나이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아울러 치료법 발전에도 이들의 예후는 좋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세대도 뇌졸중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인하대병원 김종욱 교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2년 동안 전국 17개 병원에서 모집한 18~50세 뇌졸중 환자 7050명을 분석했다.
‘젊은 뇌졸중’이라고 불리는 조기 발생 뇌졸중은 18세에서 50세 사이에 발생하는 뇌졸중을 말한다. 전체 환자 중 10~15%를 차지한다. 젊은 환자들은 뇌졸중 후유 장애를 안고 평생을 살아야 하기 때문에 기대 여명이 짧은 고령에 비해 질병 부담이 1.6배 이상 높다.
연구팀이 젊은 뇌졸중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다기관 뇌졸중 환자 추적 관찰 연구를 실시한 결과, 평균 발병 연령이 지난 12년 동안 43.6세에서 42.9세로 더 낮아진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여성 뇌졸중 환자 중 18~30세 비율이 6.5%에서 10.2%로 대폭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 환자는 4.1%에서 5.5%로 증가했다.
문제는 발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치료 성적은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다. ▶뇌경색을 일으키는 혈전(피딱지)을 녹이는 혈전 용해제 투여율 ▶뇌혈관 조영술을 통한 혈전 제거술 시행률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스타틴 약물 투여율 등 최신 진료 지침에서 요구하는 치료 시행 지표는 좋아졌지만, 사망률, 기능적 회복률과 같은 치료 결과 지표들은 큰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1년 내 재발률은 4.1% 수준에서 5.5%로 늘었다.
연구팀은 이처럼 예후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로 증상 발생 후 병원 도착까지 시간이 여전히 8.0시간(2008년 8.4시간)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을 꼽았다. 뇌졸중은 빨리 치료할수록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는데, 12년 동안 병원 도착 시간을 거의 단축하지 못했다.
또한 뇌졸중을 유발하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 원인 질환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그대로거나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젊은 여성에게서는 흡연율 증가도 거론된다. 연구팀은 이른 나이에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뇌졸중 위험 요인이 있어도 제대로 치료받지 않은 그룹에서 젊은 뇌졸중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뇌졸중 학회지 최근 호에 게재됐다.
배희준 교수는 “젊은 연령에서도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원인 질환을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한다”며 “한쪽 얼굴이나 팔, 다리가 마비되는 듯한 멍한 느낌이 들거나 힘이 빠지는 경우, 입술이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눈이 갑자기 안 보이거나, 말이 어눌해지거나, 갑자기 상대방의 말이 잘 이해가 안 되는 경우 등에는 뇌졸중 발생을 의심하고 즉시 근처 대학병원 응급센터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