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신약 개발의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는 췌장암 항암제의 조기 내성 발생 원리가 밝혀졌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임가람·방승민, 간담췌외과 강창무 교수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유전학 학술지 게놈 메디슨 최신호에 게재됐다.
췌장암 치료 과정에서는 외과 수술보다 약물치료가 더 많이 사용된다. 환자의 90% 정도가 수술을 진행하기에는 너무 늦은 병기에 진단을 받기 때문이다. 치료제는 대표적으로 폴피리녹스, 젬시타빈, 아브락산 등의 항암제를 사용하는데, 이마저도 6개월 이내에 약물 내성이 생겨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다. 위암 등 다른 난치성 암의 5년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음에도 췌장암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이유이다.
췌장암 내성 발생 과정은 췌장암 세포 중 약물에 저항성이 없는 세포는 사멸하고, 저항성을 가진 세포만 살아남아 암을 진행시킨다는 ‘잔류 이론’과 췌장암 세포가 스스로 항암제에 저항성을 가지게 진화한다는 ‘전이 이론’이 있다. 그러나 두 이론 모두 연구를 통해 제시된 근거는 없었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서 2019년 1월부터 2020년 7월 사이에 수술을 받은 췌장암 환자 17명의 수술 조직을 활용해 면역, 종양 등 세포 변이의 특성을 알아내는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췌장암 세포는 항암 약물 처리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 전이 이론의 근거를 확인한 것이다.
여기에 더해 서로 다른 생물학적,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고 항암제 저항성을 일으키는 타입의 세포 종류 5가지(Basal-like, Classical, EMT-related, Transitional, Ductal-associated)를 추가로 발견했다. 연구를 주도한 임가람 교수는 “항암제 투여에 따른 저항성을 조기에 차단함으로써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