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근육 감소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의 원인을 규명했다. 근감소증은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등으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뇌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 뇌건강센터 정신건강의학과 임현국 교수 연구팀은 치매가 없는 환자 528명을 대상으로 근육량과 근육 강도 등을 고려한 근감소증 점수와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파악한 인지기능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생체 임피던스 기기로 측정한 근육량, 악력계로 측정한 근력,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로 측정한 근 기능 모두 인지기능 장애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만 각 요소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은 달랐다.
연구 결과, 근육량이 적을수록 뇌에 알츠하이머병 유발 물질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이 많이 나타났다. 근력이 약할수록 장기 기억 형성에 필수적인 측두엽의 대뇌 피질 두께가 얇아졌다. 근 기능이 떨어질수록 양측 섬엽 두께가 위축되는 현상을 보였다. 섬엽은 신체 안팎의 상황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기능을 한다.
높은 근육량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근력은 백색질 변성을 막아 뇌의 위축과 인지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근 기능이 좋으면 직접적으로 뇌 위축 보호와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임현국 교수는 “근감소증 관련 신체 상태에 대한 의학적 접근이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수단과 목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및 치매’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