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박상훈,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코리아

흔히 백세인으로 불리는 초고령 장수인이 일본에는 10만명이 넘고, 한국은 이제 1만명을 웃돈다. 장수의학계에서는 초고령 장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체질 유전자는 30%로만 보고, 생활습관과 거주 환경 요인을 70%로 본다. 유전자야 타고난 것이기에 어쩔 수 없다 치고, 초고령 장수인과 장수 지역의 공통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그것을 따라 실천하면 건강 장수에 이르는 길이 된다.

박상철 전남대 연구석좌 교수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장수 의학자다. 그는 서울대의대 생화학 교수를 하던 2000년대 초반부터 전국 각지 백세인 연구를 해왔다. 지금까지 인터뷰하고, 검사하고, 생활 패턴을 조사한 백세인이 1000명을 넘는다. 박 교수는 최근 조선일보 의학 건강 유튜브 <이러면 낫는다>에 출연하며 초고령 장수인의 공통 특징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그래픽=박상훈

박 교수 분석 연구에 따르면, 백세인은 당뇨병 발병률이 2~4%로, 일반적인 고령자 당뇨병 발병률 30%대보다 현저히 낮다. 고혈압, 고지혈증 등 기타 만성질환 발병률도 낮다. 그만큼 좋은 생활습관을 가졌다는 의미다. 코로나19 감염 시 사망률은 나이 들수록 높게 나와서, 80대 감염자는 사망률이 20%에 이르렀지만, 백세인은 되레 5% 정도에 머물렀다. 만성 기저질환 수가 적은 덕이다.

백세인은 집에서도 정원이나 텃밭을 가꾸는 등 하루 종일 뭔가를 하며 움직인다. 식사나 일, 외출 등 일상생활을 항상 일정한 시각에 반복하여 한다.

초고령 장수인들은 동네 주민들과도 잘 어울렸고, 집에는 늘 손님이 끊이질 않았다 “백세인 집에 가보면 자신이 좋아하지도 않는 과자나 떡을 항상 비치해 놓는 경우를 봤는데, 동네 사람들이 집에 자주 놀러 오게 하고 그들과 어울려 식사하는 것을 즐긴다”고 박 교수는 전했다. 요즘 유행하는 혼술, 혼밥은 장수에 해로운 셈이다.

박 교수는 “장수인은 소식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몸과 생활 강도에 어울리는 하루 칼로리를 충분히 섭취하는 식사를 하고 있었다”며 “대략 70세 이상부터는 살이 빠지지 않도록 충분히 잘 먹어야 장수한다”고 말했다.

한국 백세인은 삶은 고기를 즐겨 먹었다. 고기를 구워 먹을 때와 비교해 고기가 타서 나오는 발암 성분이 적고, 지방이 빠지면서 혈관 건강에 해로운 포화지방 섭취가 적어진다. 나물을 데쳐 먹어 채소 섭취도 늘렸다. 박 교수는 “채소를 살짝 데치면 비타민C 손실이 10~20% 정도 되지만, 채소 볼륨이 확 줄어서 채소를 먹는 절대량은 크게 늘어나기에 채소에 많은 항노화 항암 성분 피토케미칼을 더 많이 섭취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백세인이 많은 지역은 대개 해발 200~600m의 낮은 산간 지역이거나 구릉 지역이다. 박 교수는 “백세인을 찾으러 가보면 동네에서 제일 꼭대기에 사는 경우가 많았다”며 “일본 오키나와도 북부 산간 지역에는 장수인이 많은데, 남부 평야지대에는 장수인이 적다”고 말했다.

구릉 지역에 살면, 일상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레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낮은 강도의 등산을 하는 셈이다. 이는 심혈관질환 예방에 좋고, 하체 근력 강화와 유지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장수 운동으로 천천히 걷기와 빨리 걷기를 3~5분 간격으로 반복하는 인터벌 걷기를 권장한다. 이는 마치 구릉을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건강하게 오래 사는 이른바 강수(康壽)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람들과 어울리며 끊임없이 몸을 움직이고 뚜렷한 삶의 목적을 갖고 사는 것이 강수 비결”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