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매년 노인들의 ‘디지털 사회화’를 위해 수백억원의 예산을 쓰지만, 큰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이 디지털 기기 사용법 위주로 이뤄져 디지털 자체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에게 큰 실효성이 없기 때문이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송주인(69)씨는 “주민센터에서 수개월 동안 디지털 수업을 들었지만, 스마폰 사용 자체가 처음이다 보니 수업을 이해하는 것조차 벅찼다”며 “정작 실생활에선 써먹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 은평구에 사는 임모(76)씨도 노인복지관에서 3개월간 스마트폰, 키오스크, 노트북 사용법 등을 배웠다. 하지만 막상 실생활에선 수업에서 배운 것을 써먹기 힘들다고 한다. 임씨는 “커리큘럼이 많다 보니 따라가는 것조차 버거울 때가 많다”며 “또 스마트폰 사용이 서툴러 막상 현실에선 은행 창구를 찾아가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고 했다. 국가인권위원회의 ‘2022년 디지털 격차로 인한 노인의 인권 상황 실태 조사’에 따르면, 노인들은 “디지털 기기 교육을 받았음에도 실제 활용하는 것은 어려웠다”고 답했다. 노인들이 키오스크 사용법 등을 배우는 정부의 ‘디지털 배움터 운영 사업’ 올해 예산은 698억4000만원이다.

전문가들은 평소 디지털 기기를 접해보지 못한 노인들을 위해 직관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노인들 사이에서도 개인별·연령별 디지털 격차가 크기 때문에 맞춤형 교육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민아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현재 정부 정책은 노인의 실제 디지털 능력과 동떨어진 측면이 있다”며 “정부의 디지털 지원 사업 구성부터 노인들 의견을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