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 인구가 1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010년 창원, 마산, 진해를 합쳐 ‘통합 창원시’로 출범한 지 14년 만에 100만명 선이 깨진 것이다. 창원시에는 비상이 걸렸다.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에 주는 ‘특례시’ 지위도 위태롭게 됐다.

7일 창원시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창원시의 주민등록인구는 99만9858명으로 집계됐다. 1년 새 9180명(0.9%) 줄었다.

2010년 통합 당시 108만1808명이었던 창원시 인구는 2012년 109만2554명을 찍은 이후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창원시는 2022년 특례시가 됐는데 특례시 지위도 잃을 위기에 놓였다. 특례시는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 중에서 정부가 지정한다. 기초자치단체지만 광역시에 준하는 자치권한을 가진다. 이에 따라 창원시는 산업단지 인허가 등 경남도를 거쳐야 했던 업무를 직접 처리할 수 있게 됐다. 복지급여를 받는 시민 수도 늘어났다.

그래픽=이진영

인구가 2년 연속 100만명 아래로 떨어지면 행정안전부 심의·의결을 거쳐 특례시 지위를 잃게 된다.

다만 특례시 지위를 따질 때 인구는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 수를 더한 것이다. 외국인을 포함한 창원시 인구는 지난달 기준 102만1194명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지금 추세라면 외국인을 포함한 인구도 2027년쯤에는 100만 아래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전국에는 특례시가 5곳 있다. 경기 수원·용인·고양·화성과 경남 창원이다. 이 중 인구가 감소하는 건 창원뿐이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밖에서는 인구 100만 대도시도 인구 감소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창원시의 인구 감소 원인으로 청년 인구 유출을 꼽았다. 정석호 국립창원대 스마트그린공학부 교수는 “지난 10년간 창원을 빠져나간 사람들을 분석해 보면 60%가 20~40대였다”며 “이들이 가장 많이 든 이유는 ‘일자리’였다”고 했다. 창원시정연구원도 2023년 발표한 ‘창원 인구 문제와 대응 방안’ 자료에서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는 청년들을 붙잡는 데 한계가 있다”며 “첨단 산업 등을 육성해 다양한 일자리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했다.

청년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창원시는 내년까지 937억원을 들여 낡은 산업단지를 첨단 시설로 리모델링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작년에 도입한 ‘창원 새내기 지원금’도 계속 운영한다. 창원 지역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창원의 대학에 진학하면 100만원을 주는 제도다. 지방의 경우 특례시 인구 기준을 50만명 이상으로 낮추는 내용의 법 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