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비(非)수도권 국립대학 4곳에 ‘반도체 공동연구소’가 들어선다. 지역마다 ‘반도체 연구 허브’를 만들어 반도체 인력난을 해소하고, 반도체 전공 학생이 수도권에 쏠리는 현상도 완화하는 게 목표다.
6일 교육부는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를 운영할 국립대를 오는 27일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는 작년 7월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 중 하나로, 반도체 직접 제작을 위한 실습 중심의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는 곳이다. 반도체 특성화 분야별로 실습 환경을 구축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권역 내 다른 대학과 기업들이 같이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클린룸 등 인프라가 들어서게 된다.
교육부는 Ⅰ권역(전남·전북·광주), Ⅱ권역(부산·울산·경남·제주), Ⅲ권역(대구·경북·강원), Ⅳ권역(충남·충북·대전)마다 국립대 한 곳씩 지정해 반도체 공동연구소를 만들기로 했다. 국립대학이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계획을 제출하면 반도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1차 서면평가와 2차 현장평가를 거쳐 오는 5월 초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2025년까지 시설 확충과 장비에 국고 657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올해는 27억원을 들여 설계에 착수한다.
이번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 설립을 위해 지난 1988년부터 35년간 운영돼 온 ‘서울대 반도체 공동연구소’가 노하우를 공유하기로 했다. 최종적으로 서울대와 각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를 연계해 산·학·연이 인프라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반도체 팹(Virtual Fab)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국립대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 지정·운영으로 교육부의 핵심 업무인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분야 인재 양성을 집중 추진할 계획”이라며 “지역 대학이 지역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