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13일 ‘글로컬 대학’ 10곳을 처음 발표한 데 이어 2026년까지 20곳 안팎의 비수도권 대학을 추가로 뽑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2024년 10곳, 2025년과 2026년에 5곳씩 선발한다.

교육부는 올해 예비 대학에 선정됐다가 최종 심사에서 탈락한 5곳에 내년까지 ‘예비 지정’ 자격을 주는 걸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에 대학 구조를 완전히 바꾸는 혁신안을 냈는데 내년에 또 새로운 혁신안을 준비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내년에도 이들 5곳과 별도로 예비 대학 15곳을 새로 뽑아서 총 20개 중에 10개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글로컬 대학 최종 평가는 교육부의 과거 어떤 재정 지원 사업보다도 까다롭게 진행됐다. 대학 총장과 지자체 부단체장이 직접 평가위원들 앞에서 20분간 혁신안을 발표한 뒤 2시간 동안 ‘압박 면접’을 봤다. 위원들은 대학별로 학생·교직원 20명씩을 추천받은 뒤 무작위로 4명을 골라 30분간 온라인 인터뷰도 했다. 대학 개혁을 하려면 구성원들 협조가 필수이기 때문에 구성원들에게 추진 과정을 제대로 설명했는지 보기 위해서다.

평가 관계자는 “정부 예산이 3조원이나 들어가는 거대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위원들이 휴대전화도 없이 10박11일간 합숙하며 치열하게 평가했다”면서 “혁신안의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지 등을 중요하게 봤다”고 말했다.

지자체가 대학을 지원하려는 의지도 점수에 반영했다. 지자체들은 자발적으로 대학에 예산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자체들은 충북대·한국교통대 1804억원, 경상국립대 1454억원, 포항공대 1000억원, 전북대 950억원, 순천대 610억원, 안동대·경북도립대 590억원, 강원대·강릉원주대 533억원, 부산대·부산교대 357억원, 울산대 300억원, 한림대 250억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된 10곳은 매년 혁신 계획을 이행하고 있는지 교육부 평가를 받는다. 계획이 실행되지 않거나 성과가 미흡하면 지원을 중단하고 사업비를 환수한다. 특히 통합을 전제로 뽑힌 4곳은 1년 내에 교육부에 ‘통합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