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전 여·야·의·정 협의체가 출범했다. 모든 분야가 다 그렇듯 정부와 의료계도 힘을 합해야 하는 동반자 관계이고, 소통과 협력 없인 원하는 걸 이루기 힘들다. 때문에 이번 불씨를 잘 살리면 내년 3월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올 거라 믿는다. 의대 학장님들도 파트너로서 학생들 오해를 풀고 설득하는 데 힘을 보태주실 거라 생각한다. 다만 의대생들이 수업을 1년 가까이 거부 중인 데 대해선 교육부가 보다 빨리 소통 물꼬를 텄어야 했는데 안타깝고 국민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이주호(63)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11일 세종시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의대가 있는 대학들에 의대생들 휴학을 자율적으로 승인할 수 있도록 허용해줬음에도 여전히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워낙 불신의 벽이 높았다”며 “이번 휴학 승인을 계기로 신뢰 회복이 시작됐기 때문에 교육부가 보다 전향적이고 열린 마음으로 소통해 나가겠다”고 했다.
또 “의료 개혁도 소통이 기반이 돼야 한다”면서 “이번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대 학장 단체인 KAMC(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가 들어와 있으니 이제 교육부와 의대 학장님들이 힘을 합쳐 학생들을 설득하고 오해를 풀고 원하는 것이 있을 때 들어주는 과정을 거친다면 학생들도 내년 3월에 돌아올 것”이라고 했다.
이 부총리는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박사(경제학) 학위를 받은 뒤 한국개발연구원(KDI) 정책대학원 교수를 지냈다. 17대 국회의원(비례)을 지냈고, 이명박 정부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차관과 장관을 역임했다. 2022년 11월부터 두 번째로 교육부 장관직을 맡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 부총리는 취임 이후 지난 2년 동안 가장 잘한 교육 정책으로 ‘늘봄학교’를 꼽았다. 이 부총리는 “늘봄학교는 윤석열 정부의 브랜드 정책이자 대한민국 교육의 힘을 느낄 수 있는 정책”이라며 “학부모 호응도가 높고 교사들 우려도 불식시켰다”고 했다.
이 부총리는 “유보통합과 늘봄학교가 정말 중요한 이유는 출발선과 형평성을 보장한다는 점”이라며 “교육 형평이란 측면에서 보면 그동안 너무 대학 입시에만 몰입돼 있던 우리나라 교육 체제를 영·유아에 대한 국가 개입에 방점을 두는 것으로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임기 후반기 교육 양극화 타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선 “공교육 강화를 통해 사교육 부담을 낮추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영·유아, 초·중·고교, 대학 교육 등) 3대 교육개혁을 마무리 짓고, 교육개혁이 꽃을 피운다면 사교육도 잠재울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수도권 특히 서울 강남으로의 집중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대를 비롯한 국내 상위권 대학의 지역별 비례선발제를 제안한 데 대해선 “지역균형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은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해법에선 사회적 논의가 상당히 진전돼야 할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학이 학생을 선발하는 과정에선 다양성이 중요하다”며 “어떻게 구체적인 정책으로 갈 수 있을지는 조금 더 활발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경비를 국비로 지원하는 특례를 3년 연장하는 내용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이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한 것과 관련해선 “교육부 장관 이전에 국무위원이고 국가 전체 살림살이 걱정해야 하는데, 우리만 예외적으로 허용해달라 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야당에) 법안 통과는 조금 양해를 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부터 도입하는 AI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속도 조절론’에 대해선 “국가가 나서서 도입하는 게 큰 의미가 있다”며 “교육청과 소통하면서 국가 주도보다 교사가 주도하는 혁신이 되는 생태계 조성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세계적인) 전체 흐름은 디지털 기기, 소프트웨어를 많이 학교에서 활용하는 쪽으로 가는 건 틀림이 없다”며 “한국 위치는 그동안 뒤쳐져 있었지만 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선두주자로 나설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인천 특수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해선 “정말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특수교육, 특히 특수교사들의 부담을 경감시켜드리는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