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가 중간고사 기간(14~17일) 학생들에게 1000원에 저녁밥을 제공한 가운데, 학교 학생식당이 학생들로 붐비고 있다./충남대 제공
충남대가 중간고사 기간(14~17일) 학생들에게 1000원에 저녁밥을 제공한 가운데, 학교 학생식당이 학생들로 붐비고 있다./충남대 제공

충남대는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학생들에게 볶음밥, 카레라이스 같은 저녁밥을 1000원에 제공했다. 중간고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격려하려는 것이었다. 1000원 한 장으로 밥을 먹을 수 있다는 소문에 학생식당은 학생들로 붐볐다. 하루 평균 약 800명, 나흘간 총 3250명이 1000원 저녁밥을 먹었다. 충남대는 이번 사업에 약 1000만원을 들였다. 단가 4000원짜리 밥을 1000원에 제공하기 위해 나머지 3000원을 모두 학교 재원으로 부담했다. 충남대 관계자는 “‘1000원 저녁밥’을 다음 시험기간에도 운영하는 등 확대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대학가에 ‘1000원 복지’ 열풍이 불고 있다. ‘1000원 아침’ 운영 대학이 200여 곳으로 늘어난 데 이어, 이젠 ‘1000원 저녁’도 등장했고, ‘1000원 매점’ 역시 추진 중이다. 식당 공깃밥 가격이 2000원으로 오르는 등 고물가 속 ‘1000원 한 장’ 가치는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대학가에선 1000원 복지가 확산세다.

인천대가 이번 중간고사 기간 학생들에게 제공한 1000원 저녁밥./인천대 제공
인천대가 이번 중간고사 기간 학생들에게 제공한 1000원 저녁밥./인천대 제공

국립인천대도 충남대처럼 이번 중간고사 기간에 5일(14~18일) 동안 1000원에 저녁밥을 제공했다. 학생이 1000원에 단가 5500원짜리 밥을 먹을 수 있도록 인천대와 학교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 4500원을 부담했다. 인천대 관계자는 “외부 식당에서 식사하면 1만원을 훌쩍 넘어서 학생들 부담이 큰데, 바쁜 시험 기간이라도 끼니 거르지 않고 저렴하게 식사할 수 있게 운영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국립군산대도 시험기간(6일) 1000원 저녁밥을 위해 끼니당 5000원씩을 투입했다. 학교 예산과 후원금 등으로 재원을 마련했다.

이처럼 이번에 1000원 저녁밥 사업을 진행한 대학에선 배식 30분 전부터 식당에 긴 줄이 늘어서고, 배식 시작 후 30분 만에 매진되는 등 학생 인기가 높았다고 한다. 충남대 불어불문학과 4학년 김준혁씨는 “외부 식당에서 하루 2끼만 해결하려 해도 2만원은 우습게 깨지는데, 시험기간엔 식비를 1만원 미만으로 줄일 수 있어 좋았다”고 했다.

‘1000원 복지’의 원조인 ‘1000원 아침밥’도 매년 확대 추세다. ‘1000원 아침밥’은 끼니당 농림축산식품부 2000원, 지자체 1000원, 대학 자체 예산 1000~2000원씩을 투입해 단가 5000~6000원짜리 아침밥을 1000원에 제공하는 사업이다. 2017년 시작한 이 사업은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MZ세대 표를 의식한 여야가 모두 공약으로 내걸면서 더욱 확대됐다. 학생들 긍정적 반응도 잇따른 가운데 사업 참여 대학이 작년 190곳에서 올해 201곳으로 늘어났다. 작년 학생들이 먹은 1000원 아침밥은 총 393만끼. 농림부는 올해는 450만끼가 판매될 것으로 보고 정부 예산도 작년 81억원에서 올해 93억원으로 늘렸다.

최근 경기도는 도내 대학 2곳에 ‘1000원 매점’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기업들에 식료품, 생필품을 기부받아 학생들에게 1000원에 팔겠다는 것이다. 고물가 시대 학생들의 생활비 부담을 줄여준다는 취지다. 어느 대학에 설치할지, 어떤 항목을 팔지는 아직 정하지 않았다. 사업을 구체화해 오는 6월 시범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문재인 정부 시절 최저임금을 대폭 올려 학생들이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하기 어렵게 됐고 취업난도 길어지고 있다”며 “1000원 복지는 학생 부담을 덜어주는 긍정적 면이 있다”고 했다.

다만 대학생 대상 1000원 복지가 확대되는 데는 포퓰리즘 성격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다수 국립대는 총장 직선제를 채택하고 있고, 교직원뿐 아니라 학생도 투표권이 있는 경우가 많다. 총학생회장 후보들도 ‘1000원 아침 유지’ ‘1000원 저녁밥’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