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100인 이상 사업체의 평균 협약 임금 인상률이 5.3%로 집계됐다. 협약 임금 인상률이란 실제 지급된 임금이 아니라 노사가 합의한 임금 인상률을 말한다.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의 올 1~6월 임금 결정 현황 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100인 이상 사업체 1만723곳 중 임금 협상을 마친 3613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상반기 잠정치다. 연도별 협약 임금 인상률이 5%를 넘은 것은 2011년(5.1%)이 마지막이었다. 협약 임금 인상률은 최저임금이 16.4% 올랐던 2018년 4.2%를 기록한 후, 2019년(3.9%)부터 2020년(3.0%)까지 상승률이 둔화됐다가 지난해 3.6%를 기록해 3년 만에 반등했다.

이번 결과를 두고 “인플레이션에 임금 인상까지 가팔라지며 고물가 상황이 굳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6.3% 올라 IMF 외환 위기가 지속되던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한국은행은 4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 하반기 이후 임금 상승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물가 상승이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고, 기업의 제품 가격 인상으로 또다시 물가가 추가 상승하는 악순환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큰 폭의 임금 인상은 대기업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1000인 이상 사업체의 협약 임금 인상률은 5.6%로 300인 미만 사업체(5.1%)보다 높다. 협약 임금 인상에는 정액 급여와 고정 상여금만 포함되며, 초과급여·특별상여금·성과급 등은 제외된다. 성과급 비율이 높은 대기업은 실제 임금 인상률이 협약 임금 인상률보다 보통 더 높다. 이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실제 임금 차이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임금 인상 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기업 실적과 성과(40.3%)’를 가장 많이 꼽았다. 특히 정보통신 업종 기업들은 평균 7.5%로 가장 높은 인상 폭을 기록했다. 코로나로 비대면 서비스 산업이 호황을 맞고 우수 인력 확보 경쟁이 치열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사업시설 관리업(4.7%),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4.2%) 등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은 업종들은 ‘최저임금 인상’을 임금 인상의 가장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