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의 한국행 단체관광이 6년 5개월만에 재개된다는 소식이 전해진 8월 10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거리 모습./ 장련성 기자

중국이 11일부터 한국행 단체 관광을 6년 5개월 만에 전면 허용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커(遊客)로 불리는 중국인 관광객이 대거 한국을 찾을 가능성도 커졌다. 하지만 서울 주요 관광지 주민과 상인들 사이에서는 “6년 동안 이미 ‘탈(脫)중국’에 적응했는데 소음이나 쓰레기 문제가 또 생기면 어떡하냐”는 우려가 나왔다.

북촌에서 50년째 살고 있다는 김연주(61)씨는 “6~7년 전 중국인 단체 관광객 버스들이 마을 입구에서 공회전을 심하게 해 열기와 소음 문제로 크게 말싸움을 했다”며 “400년 된 나무 앞에 아이스크림 막대나 커피 컵, 담배꽁초를 꽂아 두고 가는 경우도 있어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이곳에 20년째 사는 정갑영(69)씨도 “과거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이 집 대문 앞에 노상 방뇨를 하고 간 적도 있다”며 “관광객들이 좁은 골목에서 뛰어다녀 평소 사고 위험도 큰데 중국인 관광객까지 몰리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까 봐 걱정도 된다”고 했다.

서울 마포구 홍대 인근의 일부 상인들은 중국인 때문에 자칫 국내 관광객의 발길이 끊길 수 있어 걱정된다고 했다. 의류 매장을 운영하는 김모(36)씨는 “쓰레기통이 카페에만 있다 보니 중국인 관광객들이 쓰레기를 가게 앞에 버리고 가는 경우도 많아 손님들이 불쾌해했다”며 “중국인 관광객이 늘면 바가지요금을 씌운다는 인식도 생겨 한국인 손님이 줄어들기도 해 걱정된다”고 했다. 사탕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로 일하는 조모(29)씨는 “코로나 전부터 이곳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중국인 관광객이 많아지면 군것질 쓰레기가 항상 많아졌다”고 했다. 상인들 사이에선 “중국에 종속된 관광 형태를 간신히 극복했는데, 다시 얽매일까 걱정”이라는 말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관광업계 활성화를 위해 중국인 단체 관광이 필요하지만 인근 주민·상인과의 갈등을 풀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란수 한양대 관광학부 겸임교수는 “중국인 관광객의 1인당 지출액이 다른 나라보다 2배 넘게 높은 만큼 관광업계에서 기대감이 큰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중국인 전담 여행사에서 관광 예절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거나, 부산의 감천문화마을처럼 지역 주민이 직접 가이드 역할을 하는 등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