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폐지를 줍는 노인 3000여명이 앞으로 폐지수집 대신 담배꽁초 수거 같은 저강도 공익활동형 일자리를 소개받을 수 있게 된다. 폐지수집을 계속 하고 싶어하는 경우에는 서울시가 폐지 값에 보조금을 얹어줘서 월평균 30만원가량을 월급처럼 준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폐지수집 어르신 지원 방안’을 올 하반기부터 확대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지원책은 폐지를 주워 생계를 이어가는 60대 이상 노인들이 다른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게 하는 게 핵심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체 조사 결과 이들이 폐지를 주워서 얻는 소득은 월 15만원가량”이라며 “소득 자체가 낮을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등 위험도 있어 다른 일자리로 바꿀 수 있게 지원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노인일자리 폐지수집 사업단 활동모습./서울시

이에 따라 서울시는 각 자치구 내 시니어클럽이나 노인종합복지관 등을 ‘어르신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으로 지정, 공공장소 담배꽁초 수거나 수변공원 환경미화원 등 일자리를 노인들에게 소개하기로 했다. 폐지수집과 일의 형태는 유사하지만, 노동 강도가 약하고 근로 시간도 월 30시간 내외인 일자리들이다.

다만 폐지수집을 계속하고 싶어하는 노인들은 이 일을 계속하면서도 소득은 늘릴 수 있게 지원금을 주기로 했다. 서울시가 폐지수집 노인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0%가 폐지수집을 계속하고 싶다고 했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일하고 싶다’ ‘당일 현금으로 판매대금을 받고 싶다’ 등의 이유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폐지를 줍는 분의 47%가 80대 이상이라 다른 일자리 찾기를 꺼린다”며 “이 경우 억지로 생업을 바꾸게 하는 것보다는 지원금을 주는 게 낫다는 판단”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이런 경우엔 ‘폐지수집 일자리사업단’과 연결해준다. 자치구가 지정한 공동 판매처(고물상)에 폐지를 갖다주면 판매 금액에 보조금 최대 월 25만원을 더해 급여처럼 주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 13개 구에서 총 1253명이 이런 방식으로 일하고 있는데, 앞으로 전 자치구 18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보조금까지 월평균 30만원씩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서울시는 또 ‘어르신 안전보험’ 상품을 설계·지원하고, 경량 손수레와 야광조끼 등을 지급해 야간에도 안전하게 폐지를 수집할 수 있게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