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걸려 있는 명화(名畫)는 세상에 단 한 점밖에 없는 작품이 대부분입니다. 가령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모나리자’를 예로 들면, 그림 이미지는 휴대전화 검색으로도 볼 수 있지만, 원본을 보려면 프랑스 파리에 있는 루브르 박물관에 가야 하죠. 유명한 미술가가 붓으로 그린 유일한 회화 작품은 인터넷상 이미지와는 비교할 수 없이 높은 가치가 있습니다. ‘모나리자’는 판매용으로 내놓지도 않지만, 만일 값어치를 매긴다면 수천억원에서 최고 40조원일 거라고 해요.

살아 있는 미술가 작품 중에서는 몇 년 전 영국의 화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그림 ‘예술가의 초상’이 크리스티 경매에서 최고로 비싼 약 1019억원에 낙찰됐습니다.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7월 2일까지 ‘데이비드 호크니와 브리티시 팝 아트’ 전시가 열려요. 이 전시에서는 호크니의 판화와 포토콜라주(사진을 오려 붙여서 화면을 구성하는 것) 작업이 소개됩니다. 그 외에도 1960~1970년대 영국을 풍미한 음반 표지나 포스터 등 그 시대 젊은이들의 눈길을 끈 각종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어요.

작품1 - 데이비드 호크니, ‘1972 뮌헨 올림픽’, 1970. /X Cube International

◇미국 뉴욕보다 영국에서 먼저 싹터

값진 보물처럼 영구적으로 미술관에 전시하는 단 하나밖에 없는 회화 작품이 아닌, 무수히 많이 찍어내 일반 소비자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상업적 이미지가 새로운 미술 경향으로 떠오른 시기가 있어요. 바로 1960년대 대중문화를 흡수하면서 등장한 팝 아트(pop art)입니다. 일반적으로 팝 아트는 1960년대 초 미국 뉴욕에서 활발하게 일어난 움직임이라고 알려져 있지요. 하지만 사실은 그보다 조금 앞선 1950년대 말 영국에서 싹을 틔웠어요. 호크니는 영국 팝 아트를 이끈 구성원으로 활동하지는 않았지만, 팝 아트의 경쾌한 감수성을 그대로 이어받은 화가라고 할 수 있지요.

평소 수영장 그림을 즐겨 그린 호크니는 ‘수영장 화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는데요. 덕분에 올림픽 경기가 열릴 때면 수영 선수의 모습을 담은 포스터를 그려 달라는 의뢰를 여러 번 받았다고 합니다. 한 예로 <작품1>의 1972년 뮌헨 올림픽 포스터를 보세요. 호크니는 수직으로 물에 뛰어드는 수영 선수의 상체를 중심에 놓고, 그 배경으로 단순한 선과 색감이 다양한 파란색을 써서 울렁이는 물결을 멋지게 표현했어요.

작품2 - 데이비드 호크니, ‘피어블로섬 하이웨이’, 1986. /X Cube International

<작품2>는 호크니가 1986년 전시회 포스터로 쓴 포토콜라주 이미지입니다. 여러 시점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이어 붙여서 시선이 한 군데 고정되지 않은 풍경을 만들어 낸 것이죠. 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 그는 캘리포니아주 138번 국도 교차로의 땡볕 아래서 8일 동안 사진을 거의 800장 찍었어요. 그러니까 이 그림 한 장에는 각각 방향이 다른 시선 800개가 숨어 있는 셈이랍니다.

◇전쟁 후 사회의 요구가 반영된 팝 아트

2차 세계 대전을 겪고 난 영국의 젊은이들은 전쟁이 끝나자 암울하고 억눌려 있던 분위기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어요. 그들은 잡지와 만화책을 사고, 영화나 레슬링 경기를 보러 다니는가 하면, 신나게 트위스트 춤을 추며 평화로워진 시대를 만끽했습니다.

작품3 - 리처드 해밀턴, ‘오늘날의 가정을 이토록 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든 것은 무엇이었을까’, 1964(원본은 1956년). /X Cube International

그러니 이전 시대의 진지하고 심오하고 지적인 그림들은 젊은 세대의 취향에 맞지 않았어요. 때마침 미술가를 포함해 영화인, 건축인, 광고인, 그리고 디자이너까지 모인 한 세미나에서 이제는 미술도 바뀔 때가 됐다는 의견이 제기됐어요. 이렇게 미술이 대중적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자각을 바탕으로 영국에서는 새로운 유행이 나타났어요. 무거운 주제보다는 발랄하고 일시적인 감각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었죠. 이것이 영국 팝 아트의 출발점인데, 리처드 해밀턴과 에두아르도 파올로치가 대표적 미술가입니다.

<작품3>은 리처드 해밀턴의 ‘오늘날의 가정을 이토록 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든 것은 무엇이었을까’라는 포토콜라주 그림입니다. 해밀턴은 1956년 화이트 채플 아트 갤러리에서 열린 ‘이것이 내일이다’라는 전시에 참가했어요. 이 전시는 영국 팝 아트를 모두의 앞에 처음으로 공개한 유명한 전시였죠. 해밀턴의 그림이 바로 이 전시 포스터로 쓰였어요. 그림에선 대중문화와 현대 기술에 대한 관심을 집 안에 있는 물건으로 표현했습니다. 지금은 구식으로 느껴지지만, 1950년대 당시에는 최신식으로 여겨졌을 녹음기와 진공청소기 같은 가전제품이 보여요. 아름다운 신체를 과시하는 남녀 주인공도 등장하는데, 사람들이 골치 아픈 사회문제보다는 자신의 행복에 더 집중하게 됐음을 암시합니다.

작품4 - 에두아르도 파올로치, ‘많은 그림, 많은 재미’, 1970. /X Cube International

<작품4>는 ‘많은 그림, 많은 재미’라는 제목의 에두아르도 파올로치가 만든 판화예요. 1950년대 후반부터 매력적인 이미지가 곳곳에 넘쳐났는데요.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잡지나 텔레비전 같은 미디어였습니다. 이 그림은 미디어에서 대량으로 생산해내는 수많은 흥미진진한 이미지 속에서 살게 된 현대인의 삶을 풍자하고 있어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을 지닌 제목은 정말로 그렇다는 게 아니라, ‘과연 이토록 많은 이미지를 다 소화할 수 있겠느냐’고 우리에게 묻고 있는 것이랍니다.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