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입바른, 입빠른) 소리를 허용하지 않는 조직은 발전하기 어렵다.
* (입바른, 입빠른) 사람은 입이 가벼워 남의 약점을 함부로 말하는 경솔한 사람을 말한다.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골라 보세요. 차례대로 ‘입바른’ ‘입빠른’입니다. ‘입바르다’와 ‘입빠르다’는 [입빠르다]로 발음이 같고 말과 관련해 쓰이는 말이라 헷갈릴 수 있어요.
‘입바르다’는 ‘입’과 ‘바르다’가 합해진 표현입니다. ‘옳다고 생각되는 말(바른말)을 하는 데 거침이 없다’는 뜻이에요. 예를 들면 ‘그는 입바른 소리를 잘해서 부하 직원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는다’와 같이 써요.
‘입빠르다’는 ‘남에게서 들은 말이나 자신의 생각을 참을성 없이 지껄이는 버릇이 있다’ 는 뜻으로 ‘그 사람은 공연히 남의 일에 입빠른 소리를 해서 미움을 사더라’와 같이 쓰지요.
즉 입바른 사람은 ‘직언을 잘하는 사람’, 입빠른 사람은 ‘입이 가벼운 사람’이라고 할 수 있어요. 또 ‘입바른 소리’와 ‘입에 발린 소리’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마음에도 없이 겉치레로 하는 말’은 ‘입에 발린 소리’랍니다. ‘그는 입에 발린 소리를 잘하니 그의 말을 모두 믿지는 마라’는 말을 할 때, 그는 ‘입바른’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때로 많은 사람 앞에서 입바른 말을 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그녀는 친구들 앞에서 입빠른 소리를 자주 해서 인기가 없다.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