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어떻게 독립을 얻을 수 있었겠는가. 이승만이 미국 여론을 바꿔놓는 외교와 홍보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친 결과 1943년 카이로에서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는 발표가 나왔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 이것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다.”(2013년 본지 인터뷰)
연세대와 한동대 석좌교수를 지낸 원로 역사학자 유영익(87) 전 국사편찬위원장이 지난 26일 밤 이대서울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한국현대사 연구자인 그는 방대한 이화장 문서의 정리와 연세대 현대한국학연구소의 설립 등으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연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인물로 평가받는다.
경남 진주 출신으로 인천중·서울고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1960년대 미국 유학을 떠났다. 하버드대에서 동양사를 전공해 1972년 갑오경장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학 중 하버드 옌칭도서관에서 이승만이 1904년 한성감옥에서 쓴 ‘독립정신’을 읽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때껏 독재자로만 생각했던 이승만의 국제 정세에 대한 식견이 중국의 쑨원, 일본의 후쿠자와 유키치보다 뛰어났고, 한민족이 부활할 활로를 용기 있게 제시했다는 판단이 들었다는 것이다.
한림대 대학원장으로 재직하던 1993년 서울 이화장에서 10만여 장에 달하는 이승만의 일기와 편지·사진 등 문서를 접한 뒤 현대사의 핵심을 파헤치는 자료라고 판단했다. 우남사료연구소를 차리고 정리 작업에 착수했다. 한문과 영어 양쪽에 능통하지 않으면 손대기 어려운 작업이었다.
체계적인 연구와 번역·출판을 위해 노력한 결과 1997년 연세대 현대한국학연구소가 개설돼, 초대 소장 겸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석좌교수를 맡았다. 이화장 문서들은 이 연구소로 이관됐다. 그는 “작업량에 비해 운영 예산이 부족했고 연구원 한 명 말고는 추가 인력을 고용할 수 없어 매일 새벽부터 늦은 저녁까지 작업을 했다”고 회고했다. 그가 소장을 그만둔 뒤인 2011년 현대한국학연구소에서 분리된 이승만연구원이 출범했고, 2019년부터는 ‘우남 이승만 전집’이 발간될 수 있었다.
이 같은 방대한 이승만 문서를 바탕으로 학계의 이승만 재평가를 이끌었고, 이승만을 비난하는 수정주의·좌파 사관과 싸울 수 있었다. ‘이승만의 삶과 꿈’ ‘건국 대통령 이승만’ ‘이승만의 생애와 건국비전’ 등의 저서를 통해 이승만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으로 끈질기게 펼친 외교·선전 활동이 독립으로 귀결됐다는 것을 역설했다.
건국 대통령으로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미국식 대통령제 확립, 농지개혁 단행, 63만 명 수준의 상비군 육성, 양반 제도 근절과 남녀평등 실현을 통해 대한민국을 발전시키는 데 주춧돌을 놓았다고 평가했다. 이승만의 업적을 객관적으로 따질 때 최소한 ‘공(功) 7, 과(過) 3′ 이상은 된다는 것이다. 그는 “현대사 연구를 게을리한 역사학계에 한국 사회 이데올로기 분열의 책임이 있다”며 “학자들이 객관적 사실에 근거해 현대사 연구를 제대로 해왔다면 엉터리 같은 선전·선동이 역사로 둔갑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 휴스턴대 부교수와 고려대 교수, 한림대 부총장, 역사학회 회장, 길영희기념사업회장 등을 지냈다. 옥조근정훈장, 성곡학술문화상, 경암학술상 등을 받았다. 유족은 아들 유승덕(주일 미 대사관 상무관)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 강서구 마곡동 이대서울병원에 29일 마련될 예정이며, 발인은 31일이다. (02)6986-4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