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럽고 죄송한 마음뿐입니다. 용서해 주십시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 지휘관이 41년 만에 희생자 영령 앞에 무릎을 꿇었다. 당시 제3공수여단 11대대 소속 지역대장이었던 신순용(73) 예비역 소령이 21일 오후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았다. 5·18 당시 광주 현지 작전에 참여한 계엄군 지휘관으로서 국립 5·18 묘지를 공개적으로 참배한 것은 그가 처음이다.
회색 평상복에 베레모를 쓰고 묘지 입구 ‘민주의 문’에 도착한 신 예비역 소령은 굳은 표정으로 “진심으로 사죄드리고 싶어 찾아왔다”고 말했다. 방명록에는 ‘늦어서 죄송합니다. 여러분들의 한을 풀어드리기 위해 전력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100여m를 걸어 추모탑 앞 참배단에 선 그는 헌화와 분향을 한 뒤, 두 손을 모으고 “죄송합니다”라고 세 번 외쳤다. 바닥에 엎드려 큰절을 두 차례 올리며 다시 “용서하십시오. 죄송합니다”라고 사죄했다. 이어 묘역으로 올라가 1980년 5월 21일 광주교도소를 지나다 계엄군 총격에 숨진 고규석씨 등 희생자 묘소를 찾아 묘비를 어루만지며 “죄송합니다”를 반복했다.
그는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던 5월 22일 교도소 입구 경계병들이 사살한 청년 3명을 직접 교도소 앞 야산에 암매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소속된 부대가 광주교도소 인근 도로를 지나던 민간인 차량에 10여 차례 총격을 가해 20~30명가량이 숨졌고, 사망자들은 광주교도소 인근에 암매장됐다”고 주장했다.
신 예비역 소령은 지난 2017년부터 5·18 기념재단과 언론 등에 5·18 당시 작전 상황과 암매장 의심 장소 등을 증언해왔다. 그는 “당시 작전에 참여한 군 관계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고백해 5·18의 진실을 밝혀주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