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서남부 6개 지자체(화성·부천·안산·안양·시흥·광명)가 공동 투자한 광역 화장장 ‘화성 함백산 추모공원’이 이달 중 완공된다. 2011년 처음 사업을 추진한 지 10년 만이다.

화성시는 시험 가동을 거쳐 오는 7월 1일 추모공원을 개원할 방침이라고 3일 밝혔다.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에 들어서는 화성 추모공원은 약 30만㎡(9만평) 규모로, 화장로 13기와 봉안 시설 2만6514기, 자연 장지 2만5300기를 설치한다. 광역 화장장으로는 정읍과 고창, 부안이 손잡고 2015년 문을 연 전북 서남권 추모공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다. 경기도에 서울시립승화원(고양)과 수원·성남·용인 화장장이 있지만, 모두 지자체가 단독 운영하는 시설이다.

화성시가 주도한 화성 추모공원은 ‘님비’(not in my backyard·내 뒷마당은 안 된다) 시설에 대해 광역화 방식으로 돌파구를 마련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매장 대신 화장을 선호하는 문화가 확산하며 화장장 증설이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주민 반발로 지지부진한 곳이 많다. 하남시가 광역 화장장을 추진했지만, 시장 소환 운동 등 진통을 겪다 포기했고, 안산시 등은 단독 화장장을 추진하다 실패했다. 이천과 양평 등에서도 주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화성 추모공원에 참여한 6개 도시 인구를 합산하면 380만명에 이른다. 사망자가 매년 1만5000여 명으로 추산되는데, 새 추모공원은 수용 능력이 연간 1만7500명에 달한다. 이 때문에 화장장 부족으로 세종시 등으로 ‘원정 화장’을 떠나야 했던 주민들이 불편을 덜 수 있게 됐다. 이들 6개 지자체 주민은 16만원만 내면 추모공원을 이용할 수 있다. 타지 주민들은 100만원을 내야 한다.

화성 추모공원은 광역화를 통해 재정을 분담했고 주민 반발을 극복했다. 사업비 1714억원을 인구 비율에 따라 나눴다. 화성시가 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광명시가 126억원으로 가장 적었다. 운영 비용은 1년 단위로 이용률을 기준으로 정산할 계획이다.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추모공원 공모(公募)에 나선 것도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마을 발전 기금(약 395억원) 지원, 기반 시설 설치와 복지 시설 건립 등 지역을 새롭게 탈바꿈시킬 획기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추모공원 유치를 놓고 6개 마을이 각축전을 벌였다.

사업 추진 과정이 순조롭지는 않았다. 인접한 수원 호매실지구 주민들이 환경오염 등을 내세워 격렬하게 반대해 행정소송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애초 목표보다 개원이 3년 늦어진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