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겸 울산시장이 본지 인터뷰에서 향후 시정 운영 방향에 대해 말하고 있다. 김 시장은“그린벨트를 풀어 산업단지를 만들고, 기업을 유치하겠다”며 “양질의 일자리가 늘면 자연스럽게 수년간 줄어든 울산 인구도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김동환 기자

김두겸(64) 울산광역시장은 1995년 울산시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한 뒤 울산 남구의회 의장, 울산 남구청장을 거쳐 울산시 수장 자리까지 올랐다. 그가 당선되면서 국민의힘은 4년 전 더불어민주당에 빼앗겼던 울산시장 자리를 되찾아왔다. 김 시장은 지난 8일 본지 인터뷰에서 “과거 8년간 울산 남구청장으로 일하며 낸 성과를 보고 시민들께서 큰 살림을 맡겨도 되겠다고 판단하신 것 같다”며 “20년간의 지방 행정 경험을 살려 울산을 다시 잘살게 만들겠다”고 했다.

김 시장은 “울산은 2015년부터 8년째 인구가 줄고 청년들이 떠나고 있다”며 “울산 인구가 줄어든 가장 큰 원인은 조선업 불황과 더불어 젊은 층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그린벨트를 해제해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그곳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ICT·바이오·에너지 등 첨단 기업을 유치해 일자리를 늘리겠다”며 “산업 수도 울산의 위상을 되찾겠다”고 했다. 김 시장은 또 “의료·교육·문화시설 등도 개선해 주민들이 살고 싶은 도시로 만드는 데도 힘쓰겠다”고 했다.

-민선 8기 시정의 중점 정책은 무엇인가.

“단연 일자리 늘리기다. 울산 인구가 최근 눈에 띄게 줄었다. 2015년 11월 120만여 명에서 지난 5월 현재 113만여 명으로 크게 줄었다. 한때 울산은 일자리가 넘쳐나 전국 각지에서 사람이 모여들었다. 다시 인구를 늘리기 위해선 기업 유치가 급선무다. 저는 울산시 전체 면적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그린벨트 중에서 환경적으로 보존 가치가 없는 지역을 해제해 그곳에 대규모 산업단지를 만들어 기업을 유치하려 한다.”

-지난 울산시 정부도 그린벨트를 해제하려 했지만 실패했는데.

“지자체장은 30만㎡ 면적을 초과하는 그린벨트를 풀 수 없다. 정부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지자체 차원에서 어려운 일이다. 이에 지난달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600만평(1983만㎡) 규모의 그린벨트 해제를 건의했고, 지난 3일엔 그린벨트 해제 권한이 있는 국토교통부 고위 공무원들이 울산 울주군과 북구의 그린벨트 현장을 방문하고 돌아갔다. 범정부 차원에서 비수도권 그린벨트 해제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하는 분위기가 있어 긍정적인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일자리를 어떻게 늘리겠다는 것인지.

“지난달 현대자동차가 울산공장에 2조원을 들여 국내 첫 전기차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울산에 대규모 자동차 공장을 짓는 것은 34년 만의 일이다. 이로 인해 생기는 일자리만 2000개다. 연관 부품기업도 들어서면 인구 증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각종 지원책을 통해 기업 유치에 힘쓸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업 유치를 하겠다는 건가.

“미국 조지아 정부는 현대차가 55억달러를 들여 현지에 전기차 공장을 짓기로 하자 세금 감면 등 18억달러의 인센티브를 준다고 한다. 우리는 그 정도로 파격적인 지원을 할 순 없지만,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지원을 하겠다. 다른 기업도 울산에 온다고 하면 공장 용지를 싼값에 제공하는 등 인센티브를 주고,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 취임 후 1호 결재도 기업 투자 유치 인센티브 강화책이었다. 이른바 ‘비즈니스 시장’이 되겠다.”

-울산은 광역시 규모에 비해 의료 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의료 문제는 정말 절박하다. 울산은 병상 1개당 인구 수가 776명으로 전국 평균(155명)보다 5배나 많다. 그러다 보니 시민들이 서울 등지로 원정 의료를 가고, 돈도 더 쓰게 된다. 다행히 윤석열 정부가 도심 상급종합병원 건립과 공공병원인 울산의료원 신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의과학원 설립을 공약했다. 모두 실현되도록 노력하겠다.”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이나 쇼핑 시설도 부족한데.

“현재 울산에서 가장 큰 시장인 남구 삼산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은 오는 2027년까지 울주군 청량읍 율리로 이전하게 된다. 그 자리에 복합 문화·쇼핑몰을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울산 최대 상업지역이기도 한 주변 상권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 향후 인근에 태화강 오페라하우스를 조성하고, 이전 계획이 있는 삼산동의 울산 시외·고속버스정류장 부지와도 연계해 일대를 새로운 문화상업 지구로 만들겠다. 울산 원도심엔 대중체육·문화 시설도 확충할 계획이다.”

-시 조직 개편을 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할 생각인가.

“지방정치 특성에 맞게 정무직은 최소한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민선 7기 때 추진된 남북 교류 협력 사업의 경우 그동안 성과가 적었던 만큼 담당 부서 폐지를 검토 중이다. 일부 기능이 중복되는 시민신문고위원회와 인권담당관실도 통폐합하겠다.”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거대 도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인데.

“수도권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 지자체들이 특별 연합을 꾸려 대응하는 것에는 찬성한다. 하지만 현재처럼 추진될 경우 울산은 실익이 적다. 부산은 사업비 약 28조원 규모의 가덕도 신공항을 확보하고 경남은 12조원 규모의 진해 신항만을 추진하게 됐지만 울산은 무엇을 얻었나. 울산은 도시 기반이 부산보다 상대적으로 약하다. 부산·울산·경남 광역교통망이 발전할수록 울산 입장에선 오히려 경제적 이익을 뺏길 수도 있다.”

-대안을 생각하고 있나.

“울산·경주·포항 간의 이른바 ‘해오름 동맹’이 더 나은 선택지라고 본다. 이들 세 도시는 모두 신라 문화권으로, 지리·역사적으로 공통점이 많다. 장기적으로 인구 200만명, 경제 규모 95조원인 이들 세 지역을 아우르는 신라권 공항 건설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미 개통된 울산~포항 고속도로로 생활권 교류도 쉬워져 이들 도시가 뭉치면 지역 경쟁력도 부산에 버금가는 규모로 키울 수 있다고 본다.”

/울산=김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