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 전경./인천시

인천 권역별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가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는 2026년까지 조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천시는 동부권(부평구·계양구)과 서부권(중구·동구·옹진군), 남부권(미추홀구·남동구·연수구)과 북부권(서구·강화군) 등 권역에 4개의 소각장을 확보할 계획이지만, 기존 소각장의 증설을 결정한 남부권을 제외한 나머지 3곳은 소각장이 들어설 위치조차 정하지 못한 상태다.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2026년 1월1일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된다. 생활폐기물을 태운 뒤 남은 소각재만 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천시는 이에 따라 동·서·남·북부권 등으로 권역을 나눠 1개씩의 광역 소각장을 확보할 방침이다.

남부권 소각장의 경우 현재 송도 소각장을 증설해 사용키로 했다. 현재 KDI 공공투자관리센터가 적정 소각 용량과 사업비 산정을 위한 사업 적정성 평가를 진행 중이다.

4개 권역 중 가장 속도가 빠르지만, 설계와 건축에 2년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내년 1월 착공하더라도 2026년 하반기에나 가동이 가능하다.

나머지 3개 권역은 아직 소각장이 들어설 위치를 정하지 못했다.

서부권의 경우 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가 구성돼 지난 6월 5곳의 후보지를 제시했지만, 후보지 지역 주민 반발로 최종 후보지 선정이 미뤄지고 있다.

북부권은 소각장이 들어설 장소를 찾기 위한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이 진행 중이다. 내년 5월까지가 용역 기간이다. 이 결과가 나오면 북부권 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가 후보지를 정하는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서부권 사례처럼 주민 반발에 부딪혀 지연될 수 있다.

동부권은 소각장 위치 선정을 위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입지선정위원회 조차 구성되지 않았다. 경기 부천시와 동부권 광역 소각장을 마련하겠다는 게 인천시 애초 구상이었는데, 부천시가 지난 3월 광역 소각장 건립이 어렵다는 입장을 인천시에 통보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인천시는 부평구, 계양구 등과 실무 TF를 구성해 대책을 논의 중이지만 이렇다 할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는 광역 소각장에 대해 주민들이 갖는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소각장이 들어설 경우 난방열 지원, 주민 편익시설 설치 등 인센티브가 다양하다는 점을 알려 소각장 입지 선정 작업에 속도가 붙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2026년 1월까지 광역 소각장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인천지역 민간 소각장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민간 소각장을 활용하면 1t당 30만원 정도의 처리비가 든다. 공공 소각장에 비해 3배 정도 비싸다.

인천시 관계자는 “소각장은 지하에 설치되고 지상부는 문화체육시설, 전망대 등이 들어서는 지역 명소가 된다”며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편의시설이 갖춰지고 난방열 지원 등 인센티브도 많다”고 했다.

이어 “소각장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결국 주민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며 “군·구와 함께 주민들이 소각장에 대해 갖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각장의 장점을 적극 알리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