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 전경./뉴스1

부산이 광역시 중 최초로 지역 소멸 위험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28일 발표한 ‘지방 소멸 2024: 광역 대도시로 확산하는 소멸 위험’ 보고서에서 지난 3월 기준 부산의 소멸위험지수가 0.490으로 광역시 중 처음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소멸위험지수는 임신을 할 수 있는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지역의 소멸 가능성을 나타낸다. 지수가 0.2 이상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지역, 0.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본다. 지난 3월 기준 부산의 20~39세 여성 인구는 36만8879명, 65세 이상 인구는 76만517명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5 아래로 내려갔다.

이번 보고서에서 전국 광역시도 평균 소멸위험지수는 0.615였다. 전남이 0.329로 가장 낮았고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등의 순으로 낮았다. 세종이 1.113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은 0.810이었다.

그래픽=양진경

부산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인구는 1995년 388만3000명으로 400만명에 육박했으나 최근 329만명으로 줄었다. 부산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3%에 달했다. 4명 중 1명은 노인이라는 뜻이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는데 부산은 광역시 중에서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전국 228개 시·군·구 기준으로 보면, 지난 3월 새로 소멸위험 단계에 들어선 지역은 11곳이었다. 이 중 4곳이 부산 지역(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이었다.

이상호 위원은 “소멸위험 지역이 구도심이나 노후 산업 지역에서 해운대구 같은 신도심까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해운대구 중에서 반송 1·2동은 소멸위험지수가 각각 0.192와 0.194로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꼽혔다. 이들 지역은 낙후된 주거 인프라와 생활 환경 때문에 인구 유출과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