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사람이 1년 이상 살지 않는 빈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 1년 이상 아무도 거주·사용하지 않는 ‘빈집’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모두 1159채로 집계됐다. 이는 첫번째 조사인 지난 2019년 862채와 비교해 297채(약 34%)가 늘어난 것이다.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과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이뤄지는 이 조사는 한국부동산원에 위탁해 전기·수도 사용량 및 비어있거나 낡은 건물 등 현황을 조사해 빈집으로 추정되는 3500채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체 빈집 가운데 제주시와 서귀포시 지역의 비율은 각각 68%와 32%로 나타났다. 또 빈집 분포는 농어촌지역(66%)이 도시지역(34%)보다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의 경우 한경면(9.5%), 한림읍(8.8%), 애월읍(8.0%) 순으로, 서귀포시는 대정읍(5.2%), 성산읍(4.1%), 표선(4.0%) 순으로 빈집 비율이 높았다.
이를 감안하면 농어촌 지역의 공동화 현상으로 빈집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빈집의 상태를 보면 바로 사용이 가능한 1등급 빈집은 10%, 안전조치나 수리 후 거주·활용이 가능한 2등급은 73%, 철거 대상인 3등급은 17%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2025년 제주형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현재 매년 빈집정비사업을 통해 위험도가 높은 3등급 빈집을 우선으로 철거 지원 사업을 진행중이다.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빈집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며 “제주의 특색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