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리조트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과학수사대 화재감식팀, 소방 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재난안전원 등 관계자들이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16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리조트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과학수사대 화재감식팀, 소방 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재난안전원 등 관계자들이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부산경찰청은 19일 6명이 숨진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중간수사 브리핑을 갖고 “일부 공사 관계자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입건,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입건돼 조사받은 사람들은 건설업체 4곳의 관계자들”이라며 “하지만 지난 18일 관련 업체나 기관 9곳의 압수수색영장 신청을 위해 안전 업무 담당 및 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특정 혐의가 포착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향후 화재 원인과 화재 후 조치 등에 대한 조사가 진척되면서 관련 업무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선 더 많이 모두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지난 18일 진행한 시공사 삼정기업과 하청업체, 감리사, 기장군과 관할 소방서 등 9곳의 압수수색에서 건물 내 모든 방범카메라(CCTV) 영상과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곳 등 화재현장의 안전교육 관련 자료, 작년 12월19일 사용승인 관련 및 그 후 작업 내용 등에 관한 도면과 서류, 인허가 및 감리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압수수색은 이날 오후 3시10분쯤부터 오후 10시20분까지 진행됐다. 업무상과실에 대한 수사를 하는 경찰(44명)과 중대재해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는 노동부(30명) 등 77명이 합동으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경찰은 “이날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안전교육 자료들을 중심으로 어떤 작업을 하게 되면 화재 위험과 관련된 어떤 조치를 해야 되는 건지, 그걸 실제로 했는지, 화재 예방 교육과 활동을 이행했는지 등 과실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또 확보된 CCTV 영상을 토대로 숨진 피해자 6명의 동선을 밝히는 데도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이들 6명은 모두 1층 엘리베이터 앞에서 발견됐다. 발화 지점으로 알려진 ‘배관실 주변’과는 거리가 떨어져 있는 곳이다. 또 숨진 작업자들이 모두 1층 근로자는 아니었던 것으로도 파악됐다.

경찰 관계자는 “건물 위층에 화장실이 없는 구조였고, 보관된 자재들이 지하에 있어서 (위아래로) 왕래가 있었던 것 같다”면서 “피해자들이 엘리베이터를 탄 것인지, 엘리베이터를 타려고 한 것인지 여러 가지 상황을 상정할 수 있는데 CCTV로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CCTV 영상 분석을 통해 피해자 6명 중 누가 사망 장소에서 작업 중이었는지, 어떤 사람이 이동 중에 변을 당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는 당시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과실의 정도와 범위 등을 밝히는데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또 피해자들의 사망 경위와 이동 동선을 확인한 뒤 유가족들에게도 설명할 계획이다.

화재 현장의 스프링클러의 작동 여부와 관련, 경찰은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다’는 일부 진술이 사망자가 발생한 곳의 장치인지 여부, 열이나 연기감지 등 작동 방식 차이 때문인지 등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인과관계를 정확히 밝혀야 하므로 지금 단계에서 말해주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경찰은 관할구청과 소방서, 감리사 등으로부터 확보한 건물 인허가 및 사용승인 관련 서류와 도면 등의 문제점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경찰은 이를 위해 전날 기장군과 소방서, 감리업체도 압수수색 했다.

경찰 관계자는 “사용승인 후 거의 2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화재가 났고 그 당시에도 작업을 많이 한 것에 대해 적절한 지 여부를 따져볼 것”이라며 “도면대로 시공이 됐는지, 쓰여야 할 자재가 제대로 쓰였는지 등을 조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