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7일 대구를 찾아 “애국의 심장, 보수의 심장 대구에서 제7공화국을 시작하자는 간절한 호소를 드리기 위해서 이곳에 왔다”고 밝혔다.
김 지사의 대구 방문은 취임 후 처음이다. 이날 오전 달서구 2·28 민주운동기념탑을 찾아 참배한 김 지사는 대구 방문 이유를 묻는 취재진에 “이제 탄핵이나 정권 교체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제가 제7공화국의 출범을 이야기하면서 ‘삶의 교체’를 이야기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그리고 우리 국민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지금 대한민국 경제가 몹시 어려움에 빠져 있다. 대구의 GRDP(지역내총생산)가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꼴찌인 17위고, 유일하게 1인당 GRDP가 3000만 원이 안 되는 도시가 바로 대구”라고 했다. 김 지사는 “대구 인구의 60% 이상이 소상공인인데 이와 같은 분들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 제7공화국의 새로운 출범, 경제정책의 대전환을 통한 우리 국민들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도 했다.
김 지사는 이어 중구 2.28민주운동기념회관에서 ‘2.28 민주운동, 삶의 교체와 경제 대연정’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김 지사는 “제가 주장하는 개헌은 엉터리 또는 반위헌적, 불법적 계엄은 꿈도 꾸지 못하게 하는 ‘계엄 대못 개헌’,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강화하는 ‘경제 개헌’, 분권형 4년 중임제 대통령, 책임총리제 등을 포함한 ‘권력구조 개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탄핵 인용이 돼 조기에 대선이 이뤄진다면 다음 대통령은 다음 총선과 주기를 맞추기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하고 3년 임기 내에 이와 같은 개헌을 포함한 경제 대개혁, 삶의 교체를 위한 경제대연정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했다.
김 지사는 이어 서문시장을 찾았다. 서문시장은 보수성향 대권주자들이 항상 방문하는 상징적 장소로 꼽힌다. 김 지사는 이에 대해 “애국의 심장이고 보수의 심장인 대구에서 가장 많은 삶의 체취가 있는 곳”이라며 “어려워진 경제를 다시 살리는 다짐을 다잡기 위해서 방문한다”고 했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 13~14일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인 광주를 방문한 지 2주만에 대구를 찾았다. 일각에선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민주당 내 비명(비 이재명)계 대권주자로서 보폭을 넓히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