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군 기지를 공원으로 바꿔 4일 개방한 ‘용산어린이정원’에 대해 정부가 대기 중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안전성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일부 환경단체 등이 제기한 중금속·화학 물질 오염 주장은 “환경 괴담”이라고 했다. 정부는 7일 “(용산어린이정원 부지는) 미군 자녀들이 최근까지도 유치원부터 초·중·고교를 다니며 뛰놀던 공간”이라며 “성인과 어린이 모두 온종일 이용해도 안전하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으로부터 돌려받은 용산공원 반환부지 일부가 4일 '용산어린이정원'으로 재탄생했다./연합뉴스

환경부와 국토부는 이날 “용산어린이정원이 작년 9월부터 올 3월까지 3차례 실시한 환경 모니터링에서 대기 환경 안전성 기준을 통과했다”며 “같이 조사한 인근 이태원·삼각지 어린이공원과 국립중앙박물관, 용산역 등 4곳과도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모니터링은 실외 6곳과 실내 5곳에서 각각 오염 물질 12종과 13종을 조사했다.

일부 환경단체 등은 반환된 미군 기지 일부에서 오염 물질이 검출됐다며 용산어린이정원 등도 위험하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정부는 “다이옥신(발암 물질) 발견 장소는 개방에서 제외했고, 벤조(a)피렌 등 환경호르몬 검출 장소는 콘크리트로 차단해 개방 동선의 안전상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깨끗한 흙을 15㎝ 이상 덮어 기존 토양과 격리하고 전남 장성에서 가져온 토종 품종의 잔디를 심어 토양 유실을 막는 등 환경 안전성을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미군이 반환한 용산 기지 부지는 전체 243만㎡ 중 30% 정도”라며 “온 국민의 휴식 공간이 될 소중한 땅을 근거 없는 ‘오염 괴담’으로 닫아 두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고 했다.

이번 환경부와 국토부의 교차 검증 결과, 3월 3일 진행한 실내 모니터링에서 한 차례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물질이 기준치를 넘은 것을 제외하면 모두 ‘정상’으로 나왔다. 이 기준치 초과도 이후 조사에선 정상이었다.

정부는 용산어린이정원이 오염 문제로 ‘2시간밖에 이용할 수 없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성인과 어린이 모두 온종일 이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