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분리 배출한 쓰레기가 어디로 흘러가는지, 어떻게 쓰이는지 알 수 있어야만 ‘재활용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해집니다. 모든 폐기물 흐름을 추적해 전(全) 주기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한 사무실에서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이 본지와 인터뷰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 제공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을 마지막으로 만난 건 작년 4월 ‘지구의 날’ 인터뷰 때였다.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1년 만에 다시 만난 그는 “당시 인터뷰에서 약속했던 공단의 계획과 목표가 대부분 본궤도에 올랐다”며 “특히 폐기물, 하수, 오·폐수 등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사항들을 데이터화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버린 쓰레기나 공장에서 배출한 오염 물질의 경로를 국민이 간단히 접속만 하면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했다.

-텀블러를 쓰거나, 종이 영수증 대신 전자 영수증을 선택하면 돈으로 돌려주는’탄소 포인트제’처럼 올해 국민의 피부에 와 닿는 정책을 새로 내놓겠다고 했는데.

“불법 폐기물을 근절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시 시스템을 고도화하려고 한다. 공단에선 작년부터 전자 인계서, 실적 보고 등 산업폐기물 배출자·처리자가 정부기관에 제출해야 하는 자료를 모아 불법이 의심되는 업체를 적발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로써 지자체나 지방 환경청에서 무작위 점검으로 적발하던 불법을 자동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됐다. 무작위 점검 때 20% 정도였던 적발률이 빅데이터 분석 후 62%까지 올라갔다. 올해는 인공지능(AI) 기반 이상 거래 탐지 모델을 도입해 감시를 더 강화할 계획이다.”

-2026년부터 수도권 생활 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지자체가 민간 소각장과 계약을 맺고 처리하는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산업폐기물뿐 아니라 생활폐기물 감시도 필요한데.

“가정에서 버리는 생활폐기물도 산업폐기물처럼 감시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2018년 폐비닐 수거 대란, 2020년 폐지 수거 거부 사태 등을 겪고도 여전히 생활폐기물이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 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사업장 폐기물은 정부 기관에 신고를 하고 버려야 해 실시간 파악이 가능하지만, 생활폐기물은 배출하는 가구가 많다 보니 이렇게 관리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재활용 가치가 큰 ‘투명 페트병’ ‘알루미늄 캔’에 한해 추적 시스템을 먼저 만들었는데, 성공적이다. 이를 폐지나 유리병, 다른 플라스틱 등으로 확대해 나가다 보면 생활폐기물도 추적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작년 장마 때 물난리가 나면서 ‘수해(水害) 폐기물’도 많이 발생했다. 올여름엔 비가 더 많이 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공단에서 대비하는 게 있나.

“공단은 작년 여름 집중호우 피해 특별재난지역인 경북 예천군·봉화군에 3개월간 인력 860명, 크레인 536대를 투입해 수해 폐기물 6548t과 침수 가전 2087대를 수거·처리했다. 수해 폐기물은 눈에 보이는 쓰레기를 치우는 것이라 가시적 효과는 크지만, 정작 비가 많이 올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하수처리장에 물이 넘치며 각종 오·폐수가 걸러지지 않은 채 사방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올여름엔 하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현재 한강엔 유역하수도지원센터가 있어 수도권을 중심으로는 폭우로 인한 하수 피해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지만, 나머지 낙동강·금강·영산강 유역엔 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지역들은 임시 인력을 배치하는 식으로 여름을 나야 한다.”

-임기 마지막 해인데 목표는.

“공단이 운영 중인 ‘에어코리아’로 지역별 미세 먼지를 실시간 볼 수 있는 것처럼 국민 생활에 도움이 되는 환경 정보를 생산해 제공하는 것이다. 미세 먼지뿐 아니라 각종 오염 물질이 내가 사는 곳 주변 어디에서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면 국민의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리고 정부 기관의 경각심도 높아질 거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