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숨이 붙어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잠깐 눈을 감고 마음으로 사랑하는 이들과 인사를 나누세요. 가슴이 답답하고, 곧 숨도 멎을 거예요. 이제 여러분은 죽었습니다. 죽은 여러분의 시신을 화장해 장례를 치르겠습니다.”
이 말과 함께 관이 닫혔다. 빛이 사라지고, 주변이 고요해졌다. 어디선가 흐느끼는 소리가 자그마하게 들려왔다. 옴짝달싹하기도 어려운 비좁은 관이 답답했다. 세상과 단절된 듯한 외로움이 느껴졌다. 몇 분쯤 지났으려나. 가족의 얼굴이 떠올랐다. ‘나는 어떤 삶을 살았나, 지금 죽는 건 좀 억울한데….’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던 찰나에 구원의 소리가 들려왔다. “슬프고 아픈, 기억하기 싫은 일들은 관 속에 모두 버리고 새롭게 태어납시다”란 말과 함께 경쾌한 생일 축하 노래가 울려 퍼졌다. 이렇게 나의 ‘임종 체험’이 끝났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31만7800명이 생을 마감했다. 죽음처럼 자연스럽고 확실한 일도 없는데, 많은 사람이 죽음을 생각하는 것조차 꺼린다. 하지만 우리의 삶은 속절없이 죽음을 향해 간다. 모든 사람은 언젠가 죽는다. 부자도 빈자도, 노인도 청년도 죽는다. 누구나 맞이할 죽음, 쉬쉬하며 피하기만 할 게 아니라 살아있을 때 고민하고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임종 체험은 이런 생각에서 비롯됐다. 죽음을 간접적으로 체험해보는 것. ‘웰다잉(well-dying·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겨났다. 우리나라에선 2000년대 중반부터 학교와 지자체, 복지단체와 종교기관 등을 중심으로 확산했고, 연예인들이 체험하는 방송도 나오면서 한때 젊은이들의 ‘버킷리스트(죽기 전에 해보고 싶은 일들)’ 아이템에 오르기도 했다.
지난 19일 충남 천안에 있는 백석웰다잉힐링센터에서 서울 강남노인종합복지관 소속 어르신 15명과 함께 임종을 체험했다. 백석대가 운영하는 이 기관은 자살을 예방하고, 삶을 돌아볼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13일 문을 열었다. 센터장인 정용문 백석대 교수는 “웰빙을 완성하는 건 역설적이게도 웰다잉”이라며 “자신도, 남는 사람도 한이 맺히지 않도록 미리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누구나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삶과 멀지 않은 죽음, 자연스럽게 준비해야
임종 체험의 첫 순서는 영정 사진을 찍는 것이다. 우리는 촬영실 앞에서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며 수다를 떨었다. “벌써 가기 싫다”는 할아버지도, “예쁘게 찍어 달라”는 할머니도 있었다. 사진사는 활짝 웃는 표정을 권했다. 나를 배웅해 줄 사람들에게 마지막으로 보일 사진이니, 밝고 행복한 모습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촬영실에서 한 할머니가 “앞니가 없어서 웃을 수가 없다”고 하자, 폭소가 터졌다. 한 할아버지가 곱게 차려입은 할머니에게 “○○○ 여사! 그렇게 예쁘게 하고 가면 (저승에서) 오지 말라고 해”라고 하자 또 한 번 웃음꽃이 피었다. 드디어 내 차례. “너무 젊어서 저승에서 안 받아줄 거야”란 어르신들 농담에도 얼어붙은 얼굴이 좀처럼 펴지지 않았다.
영정 사진 촬영이 끝나자, 웰다잉에 대한 강의가 시작됐다. 정용문 교수가 강사로 나섰다. 오늘은 어르신 참가자가 많아 행복하게 인생을 마무리하는 법에 초점을 맞췄다고 했다. 그는 “왜 이런 해괴망측한 일을 하느냐는 사람도 있지만 오늘 체험은 빨리 돌아가시라고 하는 게 아니라, (남은 생을) 더 잘 살고 잘 마무리하자는 의미에서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교수가 어르신들을 향해 “옛날로 치면 다 돌아가셨을 나이라, 지금 사는 것은 덤으로 사는 거나 다름없다. 덤으로 사는데, 마음 졸여가면서 아옹다옹 살 필요가 있나요?” 하자 곳곳에서 “아니요!” 소리가 터져 나왔다. “(죽고 나서) 보고 싶은 엄마, 아빠가 돼야 한다. 지금은 자식과 갈등이 있더라도 화해하고 용서해야 할 때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 하늘이 준 생명은 악착같이 살다 가야 한다” 등의 말에 어르신들은 고개를 주억거렸다.
큰 화면에 ‘죽을 때 후회하는 것’이란 문구가 떴다. ‘1. 건강 못 챙긴 것. 2. 남을 가슴 아프게 했던 것. 3. ‘고마워’ ‘사랑해’라고 말하지 않았던 것. 4. 죽음을 준비하지 못한 것.’ 몇몇 어르신은 “맞다, 맞다”며 맞장구를 쳤고, 휴대전화 카메라로 이 화면을 찍기도 했다. 어떻게 죽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 이모(71) 할머니는 이렇게 답했다.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살다가, 편안한 마음으로 죽고 싶습니다. 자다가 가는 것도 상관없고, 조금만 아파서 자손들하고 대화를 나눈 뒤에 죽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정 교수는 “많은 분이 자다가 조용히 죽기를 원한다. 그러나 그것은 가족에겐 나쁜 죽음”이라고 했다. “현대 의학으로 나를 살릴 수 없다면, 사랑하는 가족의 품에서 돌아가시는 게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아닐까요?”
◇수의 입고 관에 들어가니 외로움이 느껴졌다
30분 남짓한 강의가 끝나고, 우리는 모두 인화된 영정 사진을 나눠 받았다. 몇몇 어르신은 자못 심각한 표정으로 검은 띠가 둘린 자신의 사진을 뚫어져라 응시했다. 서로의 사진을 보며 품평도 했다. “예쁘게 나왔네. 나는 표정이 영 이상해” “모자를 쓰면 어떡하나. 저짝서(저승에서) 못 알아보면 어쩌려고”…
영정 사진을 품에 안고 임종체험관으로 들어갔다. 그곳엔 나무로 만든 관이 줄지어 놓여 있었다. 실제 장례에 사용하는 관이라고 했다. 관을 마주하자 엄숙한 공기가 내려앉았다. 관 위에는 수의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수의를 입으라는 말에 유쾌하던 어르신들 표정에서 웃음이 사라졌다. 정 교수는 “수의에 주머니가 없는 이유는 죽고 나면 아무것도 가져갈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의를 걸치고 허리끈을 동여매니 분위기가 더욱 어색해졌다.
수의를 입고 관 옆에 앉자, 한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됐다. 호스피스 병동에서 가족과 함께 편안한 임종을 맞이하는 할머니의 모습, 담담하게 배우자와 가족에게 유언을 남기는 사람들의 모습이 지나갔다. 우리 앞에도 ‘유언서’라고 적힌 종이가 한 장씩 놓였다. 한참을 고민하다 가족에게 편지를 썼다. ‘더 오래 같이 살고 싶었는데, 이렇게 먼저 가서 미안해. 덕분에 정말 행복했어, 고마워….’ 여기까지 쓰는데 가슴이 울컥했다. 어르신들은 유언서를 빼곡히 채우고 있었다. 휴지로 연신 눈물을 훔치며 글을 쓰는 이도 있었다. 돌아가며 유언서를 낭독했다. 낭독자의 목소리는 떨렸고, 사람들 눈가엔 물기가 어렸다.
“내 인생에서 제일 행복했던 날, 사랑하는 아들이 탄생한 날이었다. 고생했던 날, 행복했던 날… 모든 것 다 두고 간다. 아들,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살아라.” “사랑하는 나의 딸에게, 이승에서 마지막 편지를 쓰는 아빠는 만감이 교차하는구나. 네가 우리 부부의 무남독녀로 태어나 바른 아이로 자라는 과정이 주마등처럼 스친다. 아빠는 너와 함께 공부하던 시간이 가장 행복했단다. 이미 너는 우리 부부에게 할 효도는 다했다.” “가족에게 감사한다. 너희로 인해 즐거웠고 행복했고 보람이 있었다. 주위 모든 분께도 감사의 말씀 드리고 가볍고 편안한 마음으로 떠났다고 전해주렴. 상속 관련은 엄마에게 잘 전했으니 그리 알고 따르면 된다. 쓸데없는 연명의료는 하지 말고.” “세상 사는 것 그리 어렵지 않은데, 왜 좀 더 베풀고 사랑하며 따뜻하게 살지 못했을까? 나에게 잘해준 모든 이, 특히 사랑하는 가족에게 무한한 경의를 보내고 싶다.” “나 때문에 상처받은 사람에게 사죄합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그동안 모두 고마웠습니다.”
이어 입관식이 진행됐다. 옆에 놓인 관의 뚜껑을 내 손으로 열었다. 관에 반듯하게 누우니 저승사자처럼 꾸민 직원이 관 뚜껑을 닫았다. 모든 것과 결별하는 순간이라는 느낌이 온몸을 감쌌다. 3분가량의 입관식이 끝나고 사방이 환해졌다. 어르신들과 함께 박수 쳤다. 서로의 ‘생환’을 축하하고, 남은 시간 잘 살고 언젠가 잘 죽자는 의미였다.
임종체험관을 나오면서 어르신들과 소감을 나눴다. “처음엔 무서웠는데, 하길 잘했다”고 입을 모았다. 신종철(70)씨는 “이승에서 마지막이라고 하니, 과거가 주마등처럼 지나가더라. 인간답게, 품위 있게 죽고 싶다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고 했다. 문영자(82)씨는 “앞으로 얼마 남았을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일상을 잘 살아야 잘 죽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2시간 30분가량의 임종 체험을 끝내고 센터를 나왔다. 두렵기만 했던 죽음을 살짝 맛본 것 같아 외려 홀가분한 마음이 들었다. 죽을 때 억울하거나 아쉽지 않도록, 하루하루를 후회 없이 살아야겠다고 다짐했다. 센터 문에 붙은 글귀가 눈에 들어왔다. ‘우리 모두는 시한부 인생입니다. 한 번뿐인 소중한 인생, 우물쭈물하다 갈 수는 없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