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출신이지만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망명한 세계적인 발레리나 니콜라이 로드첸코(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분)는 비행기 사고를 당했지만 목숨을 건졌다. 하지만 그의 불운은 그때부터 시작이었다. 비행기가 하필이면 시베리아에 불시착했기 때문이다. 눈을 뜬 니콜라이에게 다가온 KGB의 차이코 대령. 갈기갈기 찢어버린 여권 조각들을 니콜라이에게 부으며 말한다. “자네의 춤을 봤지, 로드첸코. 돌아온 걸 환영하네, 니콜라이.”
대령은 니콜라이를 돌려보낼 생각이 없다. 대신 그에게 감시자를 붙였다. 탭댄서 레이먼드 그린우드(그레고리 하인스)는 베트남전에 징집된 후 ‘가난한 자를 멸시하고 흑인을 차별하는 미국이 싫다’며 철의 장막을 넘어갔던 반항적인 영혼이다. 하지만 막상 건너와 보니 소련은 미국보다 훨씬 더 심하게 예술을 억압하는 나라였다. 잘못된 판단을 했다는 후회로 매일을 보낸다. 탈출했지만 붙잡힌 발레리나, 탈출을 꿈꾸었지만 스스로 목줄을 채워버린 탭댄서, 두 예술가는 자유를 향한 고뇌의 춤을 추기 시작한다. 영화 <백야>의 줄거리다.
차이코 대령은 대체 왜 이러는 걸까? 그는 소련 비밀경찰 KGB의 일원으로서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아직 냉전이 끝나지 않은 1980년대, 미국과 소련은 체제 경쟁 중이다. 러시아를 사랑하지만 소련이 싫다며 탈출한 니콜라이는 공산당의 체면을 구겼다. 차이코 대령은 니콜라이를 다시 무대에 세움으로써 소련의 ‘소프트 파워(Soft Power)’를 과시하고 싶은 것이다.
소프트 파워는 미국을 대표하는 국제정치학의 거장 조지프 나이(Joseph Nye)가 주창한 개념이다. 그는 <소프트 파워>에서 본인의 트레이드마크라 할 수 있는 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소프트 파워란, 강제나 보상보다는 사람의 마음을 끄는 힘으로 원하는 것을 얻는 능력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당근과 채찍’ 중 당근이 소프트 파워라고 오해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위에서 말한 ‘보상’일 뿐이다. 진정 소프트 파워를 갖고 있다면 어떤 보상 없이도 상대로부터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다.
윽박지르지도 구슬리지도 않고 상대방을 내 뜻대로 움직인다니, 그런 일이 어떻게 가능할까? “이런 파워는 한 나라의 문화와 그 나라가 추구하는 정치적 목표, 제반 정책 등의 매력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여기서 핵심어는 ‘매력’이다. 정당하고, 올바르며, 심지어 재미있고 매력적인 나라에 사람들은 절로 끌린다. 냉전 시기 동구권의 젊은이들은 몰래 미국의 로큰롤을 들었다. 이란 청년들은 금지된 미국 비디오나 위성 TV 방송을 몰래 시청하며 자유를 향한 꿈을 꾸었다. 이런 사례는 셀 수 없이 많다. 세계 초강대국 미국의 지위는 단지 군사력이나 경제력만이 아니라 다양한 소프트 파워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것이다.
흔히 소프트 파워는 문화와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것은 소프트 파워를 잘못 이해한 것이다. 물론 문화는 중요하다. 하지만 매력이 진정한 ‘파워’로 활용되려면 그 문화를 만들어낸 나라가 올바르고 정의롭다는 신뢰를 주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나라 사람들이 보기에 미국의 여러 가지 정책이 정당할 때 미국의 소프트 파워는 강화되는 것이다.”
미국뿐 아니라 소련에도 나름의 소프트 파워가 있었다. 모든 사람이 평등한 공산주의 유토피아의 이상, 그리고 문학과 음악 발레 등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 축적되어온 고급문화 유산이 그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냉정하다. 가난과 차별 없는 세상을 찾아 소련에 온 레이먼드는 시베리아의 가난한 지역을 떠돌며 초라한 극장에서 춤추고 노래해야 한다. 8년 전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헤어졌던 연인 가리야(헬렌 미렌 분)가 다시 무대에 서라고 회유하자 니콜라이는 말한다. “난 영웅이 아니야. 오직 무용수일 뿐이야. 난 춤밖에 몰라. 춤은 내가 사는 이유야. 하지만 여기에선 나 자신을 위한 춤을 못 추게 해.” 사회주의라는 달콤한 이상을 좇아 38선을 넘었던, 혹은 납북 당했던 예술가들이 겪었던 일과 다르지 않다.
현지 시각으로 지난 12일, 제74회 미국 에미상 시상식.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게임>의 황동혁 감독과 배우 이정재가 감독상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영어로 만들어지고 연기하지 않은 드라마가 에미상에서 주요 부문 후보에 오른 것 자체가 전대미문의 일인데, 그중 최고 영예에 해당할 주요 상을 가져갔다. 지난 4일 열린 예술·기술 부문 시상식에서 <오징어게임>은 이미 4개의 상을 받았으니 총 6개의 트로피를 들어 올린 셈이다. 대한민국이 글로벌 문화 강국이 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여기서 한 가지 잊어서는 안 될 것이 있다. 전 세계인을 매혹시킨 <오징어게임>과 한국 드라마, 지구촌의 청소년과 청년들을 들썩이게 하는 K팝 등 우리의 문화가 철저하게 금지된 그 땅, 북한. 경제적으로 압도당하고, 핵을 제외한 재래식 전력에서도 크게 뒤처진 현실 속에서 김정은 독재 세습 체제가 극도의 폐쇄성을 띠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문제는 우리의 정치다.
휴전선 대북 방송은 가장 효과적으로 북한군을 괴롭히는 수단이었을 뿐 아니라 인근 북한 주민들에게 날씨, 음악, 생활 정보 등 다양한 소식을 전하는 소중한 창구였다. 문재인 정권은 그것을 하루아침에 중단하고 확성기도 철거해버렸다. 북한 주민과의 ‘소통’은 차단한 채 우리 국민들을 향한 ‘쇼통’만을 일삼았던 것이다. 비록 정권은 바뀌었지만 180석이 넘는 국회 의석의 힘으로 졸속 입법해버린 대북전단 금지법은 그대로 남아 우리 국민들의 자유를 억누른다. 북한 주민에게도 <오징어게임>을 보고 K팝을 들으며 자유민주주의를 꿈꿀 권리가 있다. 우리의 소프트 파워를 왜 포기해야 하는가.
<백야>로 돌아가 보자. 당국이 금지한 음악을 몰래 듣는 가리야를 보며 니콜라이는 절규한다. “당신은 비소트키와 같아. 당신은 숨어서 노래를 부르지. 난 내 느낌을 숨기지 않겠어. 난 그처럼 소리 지르고 싶어! 더 이상 거짓말 못 하겠어! 날 봐. 날 봐!” 그러고는 텅 빈 극장에서 마치 날개 꺾인 새처럼 처절하게 춤춘다. 그 어떤 권력도 억누를 수 없는 자유를 향한 몸짓. 휴전선 너머 갇힌 영혼들은 언제쯤 우리의 춤과 노래와 이야기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