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을 본격 시작한 1일 정부가 앞으로 하루 코로나 확진자가 1만명이 나와도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없이 일상 회복 단계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감소세를 보였던 일 확진자 수는 지난주부터 다시 늘고 있다. 주간 일평균 국내 확진자 수는 4주 동안 1960명에서 1561명, 1338명으로 내려가다 다시 1716명을 기록했다. 이 같은 재확산 우려에도 정부는 백신 접종률이 높아진 만큼, 확진자 수가 아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 중심으로 방역 기조를 전환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셈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현재 확진자 중 미접종자가 70%, 접종 완료자가 30% 수준인데 이런 양상으로 계속 간다면 대략 5000명 정도 계속 발생하는 상황도 의료 체계가 견딜 수 있는 한계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 확진자 수가 1만명대에 이르더라도 비상 계획을 발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유행 규모가 급증해 의료 체계가 흔들리고 제대로 진료를 못할 정도가 된다면 ‘비상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비상조치’에 대해선 “‘방역 패스’ 대상 시설을 광범위하게 늘리고 사적 모임이나 행사 규모를 제한하는 조치와 더불어 취약 시설 방어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 부스터샷, 잔여백신 활용 놓고 현장서 혼선

한동안 감소세였던 신규 코로나 확진자 수는 지난주부터 다시 급증하는 양상이다. 지난달 31일 신규 확진자는 1686명으로 역대 일요일 기록 중 둘째로 많았다. 지난 1주간 감염재생산지수(확진자 한 명이 몇 명을 감염시켰는지 따지는 지표)는 1.03으로 3주 만에 다시 1을 넘어서 유행이 확산세로 돌아선 양상이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1881명으로 전주 일평균 확진자 수 1357명보다 524명 많다. 핼러윈 데이 영향과 단계적 일상 회복 시작으로 이동량이 늘면 확진자 수는 계속 늘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이에 부스터샷(추가 접종)을 더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접종자 대부분이 하반기에 접종을 완료해 현 기준으로는 부스터샷 접종이 더뎌질 수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이날 부스터샷 접종 현장에서는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당초 정부는 코로나 백신 접종 완료 후 6개월이 지난 50대, 얀센 백신 접종자, 18~49세 기저질환자 등 11월 부스터샷 대상자들은 이날부터 의료기관 잔여백신으로 부스터샷을 맞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일선 병·의원에서는 ‘관련 지침을 받은 적이 없다’며 예약을 거부하는 사태가 빚어졌다. 이날 혼선에 대해 질병관리청은 실태 파악조차 못 한 상태다. 질병청 관계자는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보겠다”고 했다. 네이버·카카오를 통해 잔여백신을 부스터샷으로 예약하는 것도 이달 중순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질병청은 “SNS 당일 예약은 현재 1·2차 접종만 지원하고 있어 부스터샷 예약 시스템을 별도로 개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확진자가 늘어도 위중증·사망자 수 중심으로 방역을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치명률이 떨어진 데 따른 것이다. 방역 당국은 “지난 한 주간 코로나 사망자는 85명으로 일주일 평균 독감 사망자 40~60명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손영래 반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예방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코로나의 중증화·사망률이 90% 정도 낮아진다고 본다”며 “이전처럼 전체 확진자 규모가 중요한 게 아니고 결국 중환자와 사망자가 얼마나 발생하고 의료 체계가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의료 체계 과부하가 올 경우 발동되는 비상 계획에 대해 정부는 “방역 패스 대상 시설을 광범위하게 늘려서 미접종자 전파를 최대한 차단하고 사적 모임이나 행사 규모를 제한하는 조치, 취약 시설들의 방어를 굉장히 극대화하는 방법 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비상 계획 발동 기준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코로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50~60%에 이르면 예비 명령을 내리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