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으로 방역 정책이 전환된 지 열흘도 지나지 않아 코로나 중증 환자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증 환자·사망자 규모는 정부가 필수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지표로 꼽힌다.

10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삼일문 앞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

방역 당국에 따르면 9일 중증 환자는 460명으로 국내 코로나 유행 이후 가장 많았다. 종전 최고인 지난 8월 24일 434명보다 26명 더 많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여러 방역 지표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악화되고 있어 조마조마한 심정”이라며 “지난해 말과 같은 위기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작년 말은 3차 대유행이 본격화되며 요양병원·요양시설 입소자를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속출, 사망자가 일일 최대 40명(12월 28일)까지 쏟아졌던 시기다. 일일 코로나 사망자는 지난 9월 말 한 자릿수에 그쳤었지만, 최근 일주일 일평균 사망자는 17.1명까지 치솟았다.

현재 당국이 확보한 중환자 병상 1121개 중 환자가 치료 중인 건 641개(가동률 57.18%)로 아직 여력은 있는 편이다. 하지만 수도권의 경우 중환자 병상 687개 중 484개(70.45%)가 차 있어 정부가 ‘비상 조치’ 발동 조건의 한 예시로 언급한 ‘중환자 병상 가동률 75%’에 가까워진 상태다. 정부는 전국에 중환자 병상 추가 지정을 추진 중이다.

사람들 활동량도 증가 추세다. 당국에 따르면 지난 1~7일 휴대전화 이용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전국 이동량은 직전 주(10월 25~31일)보다 1% 증가했고, 국내 코로나가 유행하기 직전인 작년 2월에 비해선 14%가량 높다. 연말연시가 다가오면서 각종 모임이 늘고 있는 추세라 언제든 확산세가 증폭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일상 회복 초기에 확진자 규모와 연동돼 중환자와 사망자가 증가하는 건 피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면서 “다만 증가 속도가 어느 정도 가파를 것인가, 이번 주와 다음 주까지 증가율이 어떻게 유지될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당국은 이날 “7월부터 의료기관 내 집단감염이 지속적으로 발생해 총 2104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대부분은 돌파 감염이었다”며 대학병원·종합병원·동네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나 입소자의 부스터샷을 2차 접종 후 5개월이 지난 후에도 가능하도록 했다. 또 의료기관 종사자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주 1회 의무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병원 신규 환자와 신규 종사자는 PCR 검사를 거쳐 입원 또는 채용하도록 했다.

의료기관 내 면회는 가급적 실시하지 않는 게 원칙이지만, 주치의 판단에 따라 불가피한 경우 접종 완료자에 한해 예약을 통해 시행하도록 했다. 단 미접종자는 임종 등 긴급한 경우 KF94 마스크 등 보호 용구를 착용한 상태로 접촉 면회가 가능하다. 경로당 등 노인 여가복지시설에도 백신 패스(접종완료·음성확인제)가 적용돼 접종 완료자를 중심으로 출입이 인원 제한 없이 허용된다. 미접종자는 PCR 음성 확인자만 출입이 가능하다. 시설 내에서 다 함께 식사하는 것은 원칙적으로는 금지되나 접종 완료자에 한해 칸막이 또는 한 칸 띄어 앉기 등 시설이 갖춰진 경우에는 허용된다.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독감)처럼 코로나를 국가 필수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 종식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정례적으로 백신 접종 사업을 벌이겠다는 의미다. 현재 인플루엔자의 경우 만 65세 이상, 생후 6개월부터 13세 이하 어린이, 임산부는 무료 백신 접종이 시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