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서울에서 가게를 운영해온 황모(37)씨는 최근 처음으로 정신과 병원을 찾았다. 코로나 이후 매출이 급감해 불안해하다가 한 달 전 폐업했는데, 접고 나니 더욱 우울해져 말수는 사라지고 표정은 심하게 어두워졌기 때문이다. 코로나가 우리나라를 집어삼킨 지 2년이 넘어가면서, 발생 초기인 2020년 3월과 비교할 때 우울감을 호소하고 극단적 선택까지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결혼·출산 등 인생의 중요 고비에서 직격탄을 맞은 30대 남녀에게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코로나 이후 조사 결과가 최악으로 나왔던 지난해 3월에 비하면 이번 결과는 우울감이 심해지면서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까지 고려해 본 비율이 16.3%에서 13.6%로 줄어 다소 나아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코로나 발생 초기와 비교하면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한 이들이 2020년 3월 9.7%에서 지난해 12월 13.6%로 40%나 증가해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자살을 떠올린 사람이 가장 많은 나이대는 30대 남성(22.4%)으로 전체 성별과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20대 여성(17.3%)과 20대 남성(17.2%)이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성별로는 여성이 우울 점수와 우울 위험군 모두 남성보다 높았다. 특히 30대 여성의 우울 점수는 총점 10점에 7점, 우울 위험군은 33%로 3명 중 1명이 위험 수준의 우울감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진희 대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코로나가 일과 가정 양립의 최전선에서 노동 시장의 불확실성과 육아 부담, 주거 부담 등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30대 여성들에게 치명타를 입혔음을 여실히 입증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