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에 사는 김모(40)씨는 이달 초 코로나 확진 통보를 받고 재택치료에 들어갔다. 그러나 나흘이 지나도록 재택치료 키트는 물론, 자가격리 앱을 깔라는 안내도 받지 못했다. 보건소 문의 전화는 불통.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대응을 위해 방역 체계를 개편했지만 김씨처럼 ‘방치’되는 사례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늘면서 입원 환자도 반등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31일(0시 기준) 1054명이던 신규 입원 환자는 지난 5일 1571명에 이어 6일 1360명으로 30~50% 증가했다. 지난달 이후 계속 줄어들던 중증 환자 수도 지난 4일 257명에서 6일 272명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확진자 증가→신규 입원 환자 증가→중증 환자 증가→사망자 증가로 이어지는 연쇄적인 파장이 시작된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재택 치료자도 6일 12만8716명으로 일주일 전 6만6972명의 2배, 2주일 전 2만6127명의 5배에 달한다.
“이달 중순쯤 확진자 3만명을 넘길 것” “전문가들은 하루 3만명 정도를 피크로 보고 있다”던 정부 전망은 빗나가고 있다. 주말인 6~7일 검사자 수는 평일보다 줄었지만 확진자는 연일 4만명에 육박했다. 하루 확진자가 10만~20만명까지 갈 것이란 분석이 힘을 얻으면서 의료 대응 체계를 확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高위험군·低위험군 ‘투 트랙’ 필요
오미크론 치명률은 0.15%. 델타의 5분의 1 수준이다. 확진자 대다수는 경증이거나 무증상. 이를 고려해 진단과 처방, 치료에 있어 확진자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눠 관리하자는 제안이 나온다. 백신 미접종자, 60대 이상 고령자,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게 의료력을 집중하고, 백신 접종자와 50대 이하, 건강한 사람 등은 스스로 이상 여부를 점검하게 한 다음, 문제가 생겼을 때 제대로 연락될 수 있게 하자는 얘기다.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는 “젊고 건강한 사람들에게 오미크론은 크게 위협적이지 않기 때문에, 지금처럼 모든 확진자를 다 국가가 관리하는 건 행정력 낭비”라며 “저위험군은 집에서 잘 쉬도록 하고 스스로 점검하게 하면 충분하고, 고위험 환자가 제때 보건소와 연락되지 않거나 약 처방이 지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정부가 더 명확한 방역 지침과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비판도 따른다. 확진자 규모를 근거 없이 낮게 예상하거나, 독감처럼 관리하겠다는 설익은 상황 인식은 혼선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의 중증도가 델타보다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무증상·경증 환자가 많을 뿐 고위험군에게는 여전히 위험하다”면서 “방역 긴장도를 약화시키는 발언은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방역 패스로 인정하는 방식도 지금처럼 진료소에서 받아야만 해줄 게 아니라 50대 이하 저위험군은 본인이 직접 해도 인정되도록 개편하자는 주장도 있다. 김윤 교수는 “바이러스 양이 많아 전파력이 강한 경우는 신속항원검사에서도 오류가 잘 나오지 않는다”며 “전파를 막는 게 목적이라면 자가 검사로도 충분하다”고 했다.
상비약 갖추고 ‘부스터샷’ 빨리 맞아야
국민들도 이젠 개인 방역에 더 신경 써야 한다. 전파력이 강력한 오미크론에 대응하려면 마스크는 가능하면 KF80 이상 제품을 쓰고, 해열제나 종합 감기약, 체온계, 산소포화도 측정기 같은 의약품은 미리 구입해두면 좋다. 오미크론 폭증세가 꺾일 때까지는 사적인 모임도 자제하고 ‘부스터샷’ 접종을 서둘러야 한다. 활동력이 왕성한 20~40대는 아직 3차 접종률이 40~50%에 머물고 있다. 김우주 교수는 “‘부스터샷’ 오미크론 예방 효과 역시 시간이 갈수록 줄긴 하지만, 중증 예방 효과는 뛰어나다”면서 “부스터샷 접종을 더 적극 권장하고, 60대 이상 고위험군은 4차 접종 계획을 선제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위험군 ‘부스터샷’은 대부분 지난해 10~11월 이뤄져 2월부터는 예방 효과가 점점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