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22일 오미크론 변이로 코로나 환자가 폭증하는 상황이지만 치명률은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면서 “현재 풍토병적인 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시작한 초입 단계”라고 밝혔다.

22일 오전 서울역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앞으로도 계속 낮은 치명률을 유지하고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최종적으로는 오미크론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번 오미크론 유행은 단기적으로는 위기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일상을 회복하기 위한 한 번은 거쳐야 할 필연적인 과정”이라면서 “중증과 사망피해를 최소화하고, 의료체계를 보존하면서 유행을 잘 넘긴다면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 확진자의 규모는 계속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지만, 중증환자와 사망자 수는 당초 예측 범위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델타 중증화율은 1.4%, 치명률은 0.7%였는데, 오미크론은 각각 0.38%, 0.18%로 4분의 1 수준이다. 방역 당국은 “오미크론 자체 특성과 우리나라의 높은 예방접종력, 고위험 환자 중심의 대응체계 전환과 안정된 의료체계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방역 패스를 유지하는 이유에 대해 “오미크론 치명률이 낮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위험성이 있는 인구집단은 60세 이상 고령층과 미접종자, 이 두 개의 인구집단”이라며 “미접종자는 12세 이상의 6%, 18세 이상을 기준으로 봤을 때는 4%다. 그렇지만 지난 8주간 발생한 중환자 전체의 62.1%, 사망자의 65.4%를 점유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방역패스는 미접종자들의 감염을 차단하고, 또한 이들 미접종자들로 인한 감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제도”라며 “이들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면 현재 중환자나 사망자에서의 피해나 의료체계에 소요되는 자원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런 목적 때문에 방역패스는 운영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 예전처럼 모든 확진자를 일일이 다 찾고 전부 격리해서 코로나를 궁극적으로 없애거나 혹은 최저 수준으로 유지하는 체계라기보다는 중증화 위험도가 높은 고위험환자를 적절히 관리하면서 코로나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체계로 이행을 하는 과정에 지금 들어서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