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앞으로 병원에서 받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PCR(유전자 증폭) 검사 없이 코로나 확진자로 간주하기로 하면서 위양성(가짜 양성) 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론 감염되지 않았는데 양성 판정을 받고 격리되는 사람들이 늘면 사회 필수 시설 운영 등에 차질을 빚거나, 이들이 먹는 치료제 처방을 받아 소비하면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처방으로 치료약 부족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식약처 허가 기준에 따르면 감염되지 않은 사람이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가능성(위양성률)은 1~5% 정도다. 하지만 진단검사의학과 전문가들은 “현장에서는 이보다 높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방역 당국은 지난달 신속항원검사 위양성률을 30~50%로 추정했다. 이달 초 11%까지 줄었지만 여전히 높다. 진단검사의학회 코로나대응 TF 간사인 홍기호 세브란스병원 교수는 “현장에서 사용법, 환자군, 검체 채취 부위, 제조사 등에 따라 위양성률은 달라진다”며 “전문가용 검사도 자가진단보다는 낫겠지만 키트 자체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짜 양성이 나올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신속항원검사 위양성률을 11%로만 가정했을 때 50만명이 신속항원검사를 받는다면 5만명 정도가 가짜 양성 확진자로 배출되는 셈이다. 홍 교수는 “감염되지 않았는데 확진자로 분류해 격리하게 된다면 사회적인 낭비일 뿐 아니라 이들이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으면 부족한 약이 불필요한 사람에게 공급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가짜 양성이 나온 사람이 기저질환자일 경우엔 코로나 병상에 배정되어 감염자와 섞여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실제 감염으로 위험도 있다.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가짜 양성환자가 감염자와 섞여 치료받는 과정에서 감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생활치료센터나 병상에 배정할 때는 반드시 PCR 확인을 추가로 거치게 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신속항원검사에 사용되는 진단 키트 성능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키트들을 전면 재평가해 가짜 양성 피해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홍기호 교수는 “식약처가 올해 1~2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제품에 대해 무작위로 승인해 각 제품 성능을 믿을 수 없을 지경”이라며 “지금이라도 실태 조사를 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