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9일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XE 2건, XM 1건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어 관련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내 XE 감염 2건 중 1건은 영국으로부터 유입돼 지난달 27일 확진 판정을 받은 사례다. 나머지 1건은 지난달 30일 국내에서 확진된 사례다. XM 감염 사례는 지난달 27일에 변이 감염이 확인됐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들은 20대·50대·60대 각각 1명이다. 감염자 모두 기존 바이러스와 구분되는 특이 증상은 없었다. 현재 모두 격리가 해제된 상태다.
새로 확인된 XE·XM 감염자 각각 1명은 해외유입이 아닌 국내에서 확진된 만큼, 국내 자체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XE, XM 등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는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오미크론으로 분류하고 있어 특성변화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전파력, 중증도 등 분석자료가 부재해 변이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XE 변이는 기존 오미크론 변이인 BA.1과 일명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의 유전자가 재조합된 변이로, 초기 분석결과에 따르면 BA.2보다 약 10% 감염 증가 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WHO에 따르면 지난 1월 이후 영국·미국·아일랜드 등 4개국에서 489건이 확인됐으며, 이후 대만·태국·일본 등 아시아권에서도 감염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XM 변이는 오미크론 BA.1.1과 BA.2의 유전자가 재조합된 변이로, 아직 기존 바이러스와 차이를 보이는 특성 변화는 보고된 바가 없다.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달 23일에도 전남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40대 남성이 처음으로 ‘XL’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XL변이 역시 오미크론 BA.1과 BA.2 유전자가 재조합된 것으로, 특성 변화에 대해서는 보고된 것이 없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이번에 추가로 확인된 XE·XM과 XL 모두 비슷하게 기존 변이에 비해 10% 정도 전파력이 더 높을 수 있다는 평가 결과가 있다”면서 “다만 이는 전파력을 직접적으로 대변하는 지표는 아니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데이터가 누적돼야만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