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시기 제대로 치료 받았다면 막을 수 있었던 죽음을 뜻하는 ‘치료 가능 사망’ 비율이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 최근호에 게제된 ‘공공보건의료 강화방안’에 따르면 2018년 인구 10만명당 성·연령 표준화(사망률에 성·연령이 미치는 영향을 배제)를 거친 치료 가능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39.4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반대로 치료 가능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30.6명)로, 두 지역 간 치료 가능 사망률 차이는 10만명 당 8.8명이었다. 강원도의 인구가 약 150만명임을 고려했을 때, 서울 만큼의 인프라를 갖추지 못해 사망한 강원도민이 한 해 132명에 달하는 셈이다.
치료 가능 사망률이 서울 다음으로 낮은 지역은 대전(30.7명), 경기(33.5명), 전북(34.0명), 울산(34.4명) 등이었다. 반대로 치료 가능 사망률이 강원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전남(38.8명), 부산·경북(각각 38.3명), 대구(37.9명)이었다. 서울·대전·경기·전북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10만명 당 치료 가능 사망률은 대부분 30명대 후반대였다.
서울 등 일부 지역과 다른 지역 간의 치료 가능 사망률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보고서는 서울에 비해 적은 다른 시·도의 의사·간호사수, 상급병원 혹은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수에서 찾았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가 아니면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필수 중증의료를 담당할 수 있는 대형 병원이 부족하거나, 대형 병원이 있어도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할 수 있는 보건의료 인력 등 의료 자원이 부족하면 해당 지역 주민이 수도권 등 다른 지역 의료 기관을 방문하는 게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응급·외상·심뇌혈관질환 등 신속한 대처가 중요한 질환의 경우 적절한 치료가 어려워 지역 간 건강 격차를 벌린다는 것이다.
시·도 내의 중진료권 중 건강 결과가 가장 나쁜 곳은 인구 약 11만명인 강원 영월 중진료권(영월·평창·정선군)이었다. 보고서는 이 지역의 경우 지역응급의료센터조차 설치되지 않았고 지역 주민이 지역 내 종합병원을 이용한 비율(자체충족률)이 11.85%에 불과했다고 짚었다. 연구를 담당한 임준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보건의료 인프라에도 지역 간 기울어진 운동장이 존재한다”며 “의료 기관과 인력 자원의 적절한 분배를 통해 지역 간 의료 인프라 격차를 줄일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