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 검사가 대폭 강화된 뒤 이들을 상대로 한 첫 검사에서 단기 체류 목적으로 들어온 5명 중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양성률 20%는 지난해 2월 국내 코로나 오미크론 대유행 당시와 비슷한 수준이다. 정부는 중국인에 대한 단기비자를 사실상 중단시켰지만 조치 이전에 비자를 받은 중국인들의 입국은 막을 수 없는 상황이다. 탑승 전 코로나 검사 의무화도 5일 입국자부터 적용되게 돼 4일 입국자까지는 양성률이 이 수준을 계속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가운데 3일 정부 코로나 정보 관리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 혼선을 빚기도 했다. ‘중국발 코로나 리스크’ 우려가 점점 커지면서 당국은 7일부터 홍콩·마카오 발 입국자에 대해서도 탑승 전 48시간 내 PCR(유전자 증폭) 검사, 또는 24시간 내 RAT(신속항원검사) 음성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2일 중국에서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단기 체류(90일 이하) 외국인 309명 대상 PCR 검사에서 61명(양성률 19.7%)이 확진 판정을 받아, 당국이 마련한 임시 재택 시설에서 7일간 자비 부담 격리에 들어갔다. 전날 중국발 입국자 1052명 중 743명인 장기 체류(90일 초과) 외국인과 한국인 입국자들은 입국 1일 내에 자택 인근 보건소에서 PCR 검사를 받게 돼 있어서 이들 감염 여부는 하루 정도 더 지나야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가 격리, 확진되면 7일 격리를 해야 하지만 따로 감시받진 않는다.

방역 당국은 추가 격리 시설 마련으로 분주해졌다. 국내 11개 항만을 통해 상륙하는 PCR 검사자 등을 고려하면, 확진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천공항 인근에 160명을 수용하는 격리 시설 2곳을 확보하고, 서울·경기에도 134명 수용 가능한 예비 시설 13곳을 일단 마련했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양성률이 국내 검사보다 높아 심각한 수준이지만 20%는 예상했던 수준”이라고 해석했다. 방역 당국 관계자도 “단기 체류자 20~30%가 확진될 걸로 보고 있었다”고 했다. 대만에서도 전날 중국발 항공기 탑승자 중 27.3%가 확진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이날 오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는 정부가 운영하는 코로나 정보 관리 시스템이 먹통이 되면서 전국 시·군·구 보건소에 중국발 장기 체류 외국인과 한국인 입국자 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혼란이 일었다. 이들은 단기 체류자와 달리 지자체에서 신원과 연락처를 파악해 검사나 격리 상태를 점검하는데 공백이 생긴 것이다.

중국 단기 비자 발급은 지난 2일부터 중단된 상태지만 그 전에 비자를 받은 중국인들이 있어 당분간 중국발 입국자는 하루 1000명 안팎 정도 될 것으로 보인다. 5일부터 ‘입국 전 음성확인서’ 제출까지 의무화되면, 중국발 입국 확진자 수는 줄어들 전망이다.

방역 당국이 주시하는 건 중국을 통해 이전에 없던 새로운 코로나 변이가 유입되는 상황이다. 소강상태이던 국내 코로나 확진자가 이를 통해 다시 급증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다. 현재 중국 내 코로나 우세종은 BF.7로 국내 우세종(BA.5)의 하위 변이로, 우리나라에서 쓰고 있는 개량 백신과 치료제로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혀 다른 새로운 변이가 출현하면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XBB.1.5가 세력을 키우고 있다. 이 변이 역시 지난달 8일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13건 확인되면서 방역 당국은 긴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XBB.1.5가 면역 회피력이 높아 개량 백신을 무력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다. 김우주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중국에서 오미크론과 다른 새로운 변이가 등장해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최대한 중국발 입국자를 통한 변이 유입을 통제하고 시간을 벌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