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일 오후 4시 30분쯤 충북 보은군에서 심정지 상태로 구조된 생후 33개월 아이가 상급종합병원 이송을 거부당한 끝에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31일 오후, 심정지 상태로 119구급대에 의해 최초 이송됐던 충북 보은군의 B 병원 모습. /신현종 기자

생후 33개월 된 A양은 지난 30일 충북 보은군 보은읍 한 비닐하우스 옆 1m 깊이 물웅덩이에 빠졌다. 이날 오후 4시 30분 아버지가 A양을 발견했을 때, 이미 호흡과 맥박이 없었다. 신고를 받고 현장에 도착한 119 구급대가 심폐소생술(CPR)을 하며 인근 B병원 응급실로 옮긴 시각은 오후 4시 49분. 응급실 도착 후에도 병원 의료진이 CPR을 계속했다. 병원 측은 “호흡과 맥박이 없었고, 동공도 무반응 상태였다”고 했다.

약물 투여와 CPR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오후 5시 33분쯤 심전도를 체크하는 모니터에 신호가 잡혔다. 의식은 돌아오지 않았지만, 맥박이 다시 뛰기 시작한 것이다. 병원 관계자는 “약물 투여에 따른 일시적 심장박동 신호로 보였지만, 그래도 살려보려고 대학 병원으로 전원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그래픽=양인성

병원 측은 119 구급 상황관리 센터와 함께 충청·경기 지역 대학 병원에 연락했다. 40㎞쯤 떨어진 충북대 병원부터 약 140㎞ 떨어진 분당 서울대 병원까지 총 11곳의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대부분 병원에서 “병상이 없다” “환자를 볼 의료진이 없다” 같은 답이 돌아왔다고 한다. 그사이 오후 7시 1분쯤 A양은 다시 심정지 상태가 됐다. 오후 7시 25분쯤 대전의 한 대학 병원에서 “A양을 보내라”는 연락이 왔지만, 심정지 상태에선 수십㎞ 떨어진 병원 이송이 불가능했다. A양은 7시 40분 끝내 숨졌다. 경찰은 A양의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시신을 부검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래픽=양인성

①A양 생존 가능성, 일반적으론 5% 미만

의료계에선 “일반적으로 A양과 같은 경우, 큰 병원으로 옮겨도 목숨을 구하긴 어렵다”고 말한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A양이) 33개월 아이가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갔기 때문에 성인보다도 더 위험했던 것”이라며 “‘병원 밖 심정지’라고 하는데, 이 경우 살아날 가능성은 평균적으로 5% 미만”이라고 말했다. 바로 대형 병원으로 옮겼어도 목숨을 구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취지다. 작년 12월 발표된 질병관리청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에 따르면, 질병외(외상) 원인으로 발생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022년 기준 3.8%다. 질병으로 인한 병원 밖 심정지를 포함하면 전체 생존율은 7.8%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도 “환자 상태와 사건 당시 전원 가능 여부 등에 관해 조사가 진행 중”이라면서도 “시간대별 환자 상황이 너무 급박했기 때문에 사건 현장에서 거리가 멀고 소아 중증·응급 환자 수용 여력도 충분하지 않은 다른 병원으로선 전원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 같다”고 했다.

②전공의 이탈에 따른 진료 공백 있었나

A양 전원 요청을 받은 충청권의 한 대학 병원 측은 “보은에서 차로 40분 넘게 걸리는 우리 병원으로 올 경우 환자 상태가 더 나빠질 가능성이 커 전원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지역 대학 병원 특성상 서울 대학 병원만큼 전공의 의존도가 높지 않고, 이번 사건도 전공의 이탈 사태와는 별 관련이 없다는 취지다. 또 다른 병원 관계자는 “토요일이기도 했고, 소아 중환자를 진료할 의사와 병상이 없어서 여력이 안 되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이경원 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는 “이런 안타까운 일은 평소에도 전공의 사태와 무관하게 일어난다”며 “맥박만 돌아왔다가 다시 심정지가 발생하는 사례도 흔한데, A양 사례처럼 심혈관계가 불안정한 상태에서의 전원은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했다.

③열악한 지역·소아 의료

이 사건으로 지역·필수 의료의 민낯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국 대학 병원 중 소아 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병원은 13곳에 불과하다. 필수 의료인 소아 중증·응급 환자 진료 인력과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지방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충북 지역에는 소아 전문 응급의료 센터가 없고, 소아외과 전문의도 없다. 경우에 따라선 수술로 살릴 수 있는 소아 응급 환자도 손써볼 틈 없이 목숨을 잃을 수 있다는 얘기다.

충북의 한 대학 병원 교수는 “현재 병원 응급의료 센터에선 소아 중환자를 받을 여력도 없고, 응급 환자가 와도 소아외과 수술은 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