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0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2024 의정갈등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열린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평의회, 교수비상대책위원회 심포지엄에서 한 교수가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을 하겠다고 선언한 데 이어 연세의대·세브란스병원 교수들도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연세대 의대 교수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2일 결의문을 내고 “오는 27일부터 정부가 현 의료 및 의대교육 사태를 해결하는 가시적 조치를 취할 때까지 무기한 휴진을 시행한다”며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등을 제외한 모든 외래진료와 비응급 수술, 시술을 중단한다”고 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9~11일 실시한 자체 조사에서 교수 735명 중 531명(72.2%)이 ‘무기한 휴진 입장을 취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겠다’고 답했다. 그렇게 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204명(27.8%)이었다.

세부적으로는 무기한 휴진 방식 등과 관련해 비대위의 실행방안을 지지하고 동참하겠다는 응답이 448명(61.0%), 사안별로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219명(29.8%), 그렇지 않겠다는 응답이 68명(9.2%)이었다. 이에 따라 연세의료원 산하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의 모든 진료과목 외래 진료와 비응급 수술과 시술이 27일부터 중단된다.

비대위는 “의과대학 교수들은 전공의와 학생이 떠난 병원과 대학에서 진료 외에 다른 업무를 사실상 모두 희생하며 묵묵히 기다렸다”며 “정부는 대화를 포함한 문제 해결에 어떠한 합리적인 접근도 보이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전공의와 의대생에게 뿌린 덫을 가시적으로 제거하라”며 “정부는 분위기를 조성해서 직접 대화에 나서 전공의와 학생들을 복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세대 의대 교수들이 4월 30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본관 앞에서 손팻말을 든 채 의대 정원 확대 등 정부 의료개혁 원점 재논의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의대 증원과 관련해선 “책임 있는 정부라면 근거를 제시하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특히 정책의 중장기적 영향 중 어떤 부작용을 예상하고 해결 방안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제시해야 한다”며 “우리 교수는 전문가들임에도 정부의 이런 중장기적 순기능과 역기능의 구체적인 지표를 듣지 못했고, 정부가 국민이 감수할 부담을 솔직하게 설명한 것을 보지 못했다”고 했다.

특히 정부의 전공의 사직서 수리 허용 조치에 관해선 “문제 해결 없이 전공의의 복귀를 끌어내리려는 덫에 불과하다”며 “정부는 교수들에게 전공의 복귀를 종용하고 있는데, 이는 교수들을 정부의 하수인으로 행정명령 철회 등을 이용해 전공의에게 복귀 협박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덫을 놓고 협박하라는 인생관은 우리 사회 근간을 흔들 수 있는 매우 위험하고 잘못된 인생관”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