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시한 전공의들의 사직 처리 마감 시한인 15일 한 대학병원 전공의 전용공간 앞으로 의료진과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제시한 전공의들의 사직 처리 마감 시한인 15일에도 전공의들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복귀나 사직 의사를 밝힌 전공의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일 전국 수련 병원 211곳에 “15일까지 미복귀 전공의 사직 처리를 완료해달라”고 요청했다. 사직을 하고 9월 전공의 모집에 응시하는 전공의들에겐 ‘1년 내 같은 과·연차로 복귀할 수 없다’는 기존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특례를 주기로 했다. 이에 수련 병원들은 전공의들에게 문자메시지 등으로 복귀할 건지 사직할 건지 의사를 명확히 밝히라고 했다.

하지만 대다수 전공의는 이날까지 병원에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빅5′(5개 대형 병원) 병원은 각각 한 자릿수 정도만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빅5 병원 전체 전공의가 2442명(지난 12일 기준)인 걸 감안하면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나머지 수련 병원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련 병원들은 이날까지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전공의들을 일괄 사직 처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복지부는 병원들에 15일까지 미복귀 전공의 사직 처리를 완료하고, 17일에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을 확정해 제출하라고 했다. 이를 지키지 않은 병원은 내년도 전공의 정원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전공의들의 반응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병원도 있다. 서울대병원은 이날 정오였던 마감 시한을 자정까지로 연장했다. 다른 빅5 병원 관계자는 “전공의가 복귀하겠다고 한다면 15일 마감 시한을 지나더라도 받아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다. 병원에 복귀했거나 사직 의사를 밝힌 전공의 규모는 16일 이후 취합,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전공의 사직 처리 방침에 교수들은 강력 반발했다. 전국의대교수협의회 등 의대 교수 단체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개별 전공의의 응답을 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사직 처리를 하는 것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했다.

일부 대학은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기 위해 학칙을 바꿔 학사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 이화여대는 지난 12일 학칙에 “필요한 경우 학기 구분 없이 교과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는 조항을 추가했다. 이렇게 되면 의대생들이 1학기에 못 들은 수업을 2학기에 몰아서 들어도 된다. 의대를 운영하는 다른 대학들도 학사 일정을 바꾸는 걸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