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이상 대형 병원의 응급실 의사가 지난 2월 의정 갈등 사태 시작 이전보다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최상위 응급실인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 총 180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달 28일 1604명으로, 의정 사태 전인 지난해 말(1504명)보다 100명(6.6%) 증가했다. 이 기간 권역응급의료센터(44곳)에서는 490명에서 509명으로 19명(3.9%) 늘었고, 지역응급의료센터(136곳)는 1014명에서 1095명으로 81명(8.0%) 증가했다. 이는 각 의료 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한 자료를 집계한 것이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종합병원 중에서 각각 지정된다. 추석 연휴가 있었던 지난 9월에도 응급실 180곳의 응급의학 전문의 수가 1577명(9월 2일 기준)으로 지난해 말보다 많았다. 지난달 한 달 동안에도 이 병원들의 응급의학 전문의는 26명 늘었다.
이 같은 응급 의사 증가 배경으로는 응급 의료 관련 보상 강화로 소규모 병원의 응급실 의사들이 대규모 병원으로 옮겨 가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앞서 정부는 건강보험 재정을 투입해 보건 의료 재난 위기 ‘심각’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전문의 진찰료를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에서 250%,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150% 각각 가산했다. 정부는 응급실 등 필수 의료 의사들이 직면하는 사법 부담 완화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의정 사태 후 전공의 이탈로 내과·외과 등 배후 진료과의 의사 부족은 여전하다. 응급 처치 후 수술을 담당할 배후 진료과의 당직 의사가 없으면, 응급실에서 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경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는 “응급실 전문의 소폭 증가는 그동안 응급 의료의 현실에 비해 적었던 보상을 정부가 현실화했기 때문”이라며 “향후 응급실 지원을 제도화하지 않으면 응급 의료가 무너질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