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백일해 사망자가 처음으로 발생했다. 국내 백일해 사망 사례는 집계를 시작한 2011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질병관리청은 생후 2개월 미만 영아가 지난 4일 백일해 증상 악화로 사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아기는 백일해 1차 예방접종 이전이었으며, 기침과 가래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찾았다가 지난달 31일 백일해 양성이 확인됐다고 한다.

백일해는 백일해균에 의해 생기는 호흡기 질환으로, 수두·홍역과 같은 제2급 법정 감염병이다. 백일해라는 이름은 100일 동안 기침을 한다는 의미다. 백일해에 걸리면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발작성 기침이 4주 이상 이어진다. 기침을 하거나 숨을 들이쉴 때 ‘훕(whoop)’ 소리가 나서 영어로는 ‘whooping cough(훕 소리가 나는 기침)’라고 부르기도 한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11월 첫째 주 기준 총 3만332명의 백일해 환자가 신고됐다. 최근 7~19세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13~19세가 45.7%(1만3866명), 7~12세가 42.0%(1만2725명)으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 환자의 87.7%(2만6591명)를 차지한다. 0~6세의 경우 전체 환자의 3.3%(1008명)으로 8월 이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1세 미만 영아도 지난달 초에는 주당 2~4명씩 나오다가, 지난달 말 기준 12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3~5년 주기로 반복되는 세계적 백일해 유행이 돌아온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18년 7~12세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백일해가 유행했다. 질병청 관계자는 “코로나 기간 줄어들었던 백일해 등 호흡기 질환의 발생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며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 두기로 감염이 줄어들면서 면역도 약해져 이번 유행 주기에 폭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가 유행하면서 사망자도 함께 보고되고 있다. 영국은 올해 1세 미만 영아 10명이 백일해로 사망했으며, 프랑스는 영아 2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일해의 잠복기는 보통 7~10일이다. 감염 후 2주 동안은 콧물, 약한 기침 등 일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전염력은 이 시기 가장 높다. 이후 4주 동안은 기침이 점점 심해져 참을 수 없는 발작성 기침도 나온다. 발작성 기침은 밤에 더 자주 나타나고 하루 평균 15회 이상 발생한다. 숨을 들이쉴 때 ‘훕’ 소리가 나는 것도 이 시기다. 이후 회복기에 접어들면 2~3주에 걸쳐 기침이 서서히 줄어든다. 질병청은 학교·유치원 등에서 백일해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먹기 시작한 후 5일 동안 등교·등원을 하지 않고 집에서 격리하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다.

백일해는 감염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침이나 콧물을 통해 옮는다. 면역력이 없는 집단에서는 1명이 12~17명을 감염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전염력이 매우 강하다. 합병증으로는 폐렴, 중이염, 경련 등이 있다. 심할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는 생후 2·4·6개월 때 각각 1·2·3차 백일해 등 예방접종을 맞도록 하고 있다. 이후 15~18개월에 4차, 4~6세에 5차, 11~12세에 6차 접종을 맞아야 한다. 지난해 초등·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확인 사업 결과, 초등학교 입학생 중 5차 접종자는 96.8%, 중학교 입학생 중 6차 접종자는 82.5%였다. 6차 접종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10년에 한 번씩 추가 접종을 하는 것이 백일해 예방에 도움이 된다.

질병청은 “생후 첫 접종(2개월) 이전 영아가 백일해에 대한 면역을 갖고 태어날 수 있도록 임신 3기(27~36주) 임신부 예방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생후 1년 미만 영아는 빠짐 없이 2·4·6개월에 적기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 외 고위험군, 영유아 부모, 의료종사자, 산후조리원 근무자 등 성인들도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