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외국인 환자의 절반 이상이 피부과 진료를 받았고, 국적별로는 일본인이 가장 많았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는 총 117만467명(복수 진료 제외)으로, 전년(60만5768명)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국내에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 환자로, 국민건강보험 가입자나 피부양자가 아닌 상태에서 진료받은 이들이다.
의료기관의 외국인 환자 유치는 2009년부터 허용됐다. 그해 6만201명의 외국인 환자가 진료를 받았고,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9년에는 49만7464명까지 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 영향으로 11만7069명까지 급감했다가, 2022년부터 다시 매년 2배가량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202국의 환자가 우리나라를 찾았다. 일본인 환자가 44만1112명(37.7%)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이 26만641명(22.3%)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미국(10만1733명·8.7%), 대만(8만346명·7.1%), 태국(3만8152명·3.3%) 순이었다. 환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대만으로, 2023년 1만2828명에서 지난해 5배 이상 늘었다.
진료과별로 보면 피부과가 70만5044명(56.6%)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23만9060명)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그해 전체 외국인 환자보다 많았다. 성형외과(14만1845명·11.4%), 내과(12만4085명·10.0%), 검진센터(5만5762명·4.5%) 순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외국인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은 호감도가 국내 피부과·성형외과 방문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의료기관 종별로 보면 의원급이 82.0%로 가장 많았다. 종합병원(6.0%), 상급종합병원(5.1%) 순이다. 의원급 환자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반면,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은 각각 14.4%, 7.6%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서울(85.4%)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가장 많았다. 서울을 방문한 환자만 99만9642명으로 100만명에 육박했다. 피부과 등 진료 수요가 높은 병원이 서울에 몰려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환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로 2023년 6823명에서 지난해 2만1901명으로 3배 이상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