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철원

조선 500년을 셋으로 쪼개면 훈구(勳舊)가 득세한 100년, 훈구가 사림(士林)을 잡아 죽인 50년 그리고 사림이 해 먹다가 나라를 말아먹은 350년이다. 보통은 세조 반란에 참여한 사람들을 훈구라 부르지만 단어의 사전적 의미나 왕조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조선 개국부터 중종반정까지의 공신들을 포괄해도 큰 무리는 없겠다. 이들의 정신적, 물질적 타락을 비난하며 등장한 게 사림이다. 당시에는 훈구가 기득권, 사림이 참신한 개혁 세력으로 대접받았지만 지금 입장에서 보면 꼭 그런 것도 아니다. 훈구 역시 성리학 전공자들이기는 하였으나 이들은 나름 자주적이었고 실용적 학문에도 익숙했다. 명나라에 대한 예는 형식적이었다. 간도 크게 명나라 황제의 고유 권한인 하늘에 올리는 제사를 멋대로 감행하는가 하면 단군 제사도 모셨고 이전 왕조의 이데올로기였던 불교도 무작정 내치지 않았다. 특히 훈구가 관심을 보인 것이 과학과 기술이었다. 상공업을 육성해 시장을 확대했고 군사적으로도 사뭇 공세적이었다. 알고 했든 모르고 했든 이들은 부국과 강병에 대한 ‘촉’이 있었다. 가난에서 벗어나고 외적의 침입을 자력으로 막아내자는 부국강병의 싹은 연산군 실각 이후 잘려나간다. 그리고 그 자리를 대체한 것이 농본사회를 이상향으로 삼는 도학정치(道學政治)였다. 지배계급은 대학, 피지배계급은 소학을 읽고 실천하며 오로지 농업에만 매진하는 유교 왕국이 탄생한 것이다(방점은 왕국이 아니라 유교에 찍힌다. 둘은 양립 불가다).

남정욱 작가

훈구의 중흥기가 세종이다. 세종은 운이 좋은 인물이었다. 일단 아버지인 이방원이 정적(政敵)이 될 만한 인간들을 모조리 토벌하여 권력 안정을 위해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었다. 물론 아버지가 처갓집까지 초토화한 것은 충격이었지만 처남 넷을 전부 다 하늘나라로 보내며 사돈 집안을 박살낸 아버지의 전력을 아는지라 끽 소리 못하고 넘어갔다. 사대부를 가지고 놀았던 탁월한 지적 역량은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맞추는 자산이었다. 이 둘을 기반으로 세종은 사실상 조선을 만들었고 이후의 400년은 세종이 만든 나라에 대한 유지, 보수였다고 해도 과히 틀린 말이 아니겠다. 당대 모든 분야, 전 종목을 석권한 세종이었지만 그중에서도 개인적으로 꼽는 게 언어학(한글), 과학(해시계, 물시계, 혼천의), 공학(총통, 신기전, 각종 화약)이다. 한글은 세종 혼자 만들었다. 나머지 두 분야인 과학과 공학에서 동시에 이름을 올린 인물이 있으니 장영실이다. 2019년 개봉작 ‘천문’은 당시 사람으로는 비정상적으로 과학적 재능이 탁월했던 장영실과 세종의 만남을 그린 작품이다. 배우 한석규가 세종 역이고 최민식이 장영실 역할이다. 비만에다 당뇨, 고혈압 등 수십 가지 병을 달고 살았던 세종과는 매치가 되지 않는 건강체지만 부드러운 듯 강단 있는 한석규의 이미지는 고증을 설득하며 관객들에게 다가간다.

조선에서 개발한 천체 관측 기구에 명나라가 시비를 거는 것으로 영화는 시작한다. 천체의 운행을 살펴 역법을 계산하는 것은 천자인 명나라 황제의 고유 업무다. 그걸 변방 제후국이 자기네 하늘에 맞게 고쳐보겠다고 나섰으니 반역이 따로 없다. 명나라는 천문 기기를 부수고 장영실의 압송을 요구한다. 이때부터 영화는 역사적 사실과 멀어지기 시작한다. 물론 혼천의 철거는 연산군 때 일이고 명나라 사신이 천체 관측 기구를 문제 삼았다는 얘기는 역사에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저런 오류를 감안하더라도 영화는 충분히 재미있다.

훈구는 사림과의 싸움에서 패해 밀려난 게 아니다. 자기 논리 안 만들고 후배 양성 안 한 끝에 생물학적으로 소멸했다. 이후 이어진 사림의 지배 동안 조선은 암흑이었다. 세종 역시 그 시기 왕위에 올랐다면 업적은 10분의 1로 줄었을 것이며 중국과 존화주의 사대부들 눈치를 보느라 한글도 과학도 물 건너갔을 것이다. 그나마 조선 역사 전반부에 배치된 것이 우리 역사의 행운이었다. 왕조 사회에서 군주가 백성을 위해 뭔가를 한다는 말을 나는 믿지 않는다. 그러나 세종에게는 분명 ‘애민’이라고 부를 만한 구석이 있었다.

조선사는 대한민국 역사와 묘하게 겹친다. 훈구에 해당하는 게 대한민국 산업화 세력이다. 이들은 자주적이었고 과학과 기술 문명을 중시했다. 이들이 성장과 성공에 취해 세력의 확대 재생산에 무심한 사이 386 사림은 치고 올라왔고 결국 대한민국을 접수했다. 문명보다 정신, 과학보다 목가적인 농본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386 사림은 조선 사림과 참 많이 닮았다. 대표적인 것이 원전을 포기하고 바람과 태양에 의지하겠다는 것인데 반문명적인 사림의 지배가 조선시대와 같은 결말로 끝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