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2차 국정과제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한국갤럽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30%였다. 2월까지는 30%대 중·후반을 유지했지만 3월 들어 하락세가 뚜렷했다. 케이스탯·엠브레인·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사 공동조사(NBS)도 3월 초 37%에서 최근 33%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선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이어진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과 후쿠시마 오염수·수산물 논란, 근로시간 개편안 파장 때문이란 분석이 많다. 복합 악재(惡材)는 특정 세대나 특정 지역 민심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갤럽 조사에서 3월 초와 최근 지지율을 비교하면 20대(24→13%)에선 반 토막 났고 60대(58→47%)도 하락 폭이 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35→29%)에서 20%대로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대구·경북(45→41%)과 부산·경남(44→36%)도 부진했다.

최근 윤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여론조사 표본에 여권(與圈)의 기반인 보수층 비율이 줄어든 것의 영향도 크다. 3월 초와 최근 갤럽 조사에서 보수층 비율이 34%에서 26%로 8%포인트나 줄어든 반면 중도층(41→46%)과 진보층(25→28%)은 늘었다. 현 정부 초기인 작년 5월과 비교해도 보수층 비율이 33%에서 크게 줄었다.

민주당은 지지율이 하락할 때 지도부까지 나서서 “여론조사 표본에 보수층이 정상치보다 너무 많다”며 ‘여론조사 탓’을 했다. 하지만 “여론조사를 잘못해서 지지율이 떨어졌다”며 책임을 딴 데로 돌리는 건 비겁하다. 보수층이나 진보층이 여론조사 전화가 걸려올 때 참여할지 여부는 당시 정치·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요즘엔 여권에 악재가 겹치면서 위축된 보수층이 여론조사 참여를 꺼리는 분위기다. 이들이 다시 여론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은 정부·여당의 몫이다.

NBS 조사에선 윤 대통령이 일을 잘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항상 ‘독단적이고 일방적이어서’가 첫 번째로 꼽히고 있다. 역대 정부마다 지적을 받았던 ‘소통 능력 부족’이 반복되고 있다. 아무리 취지가 좋은 정책도 받아들이는 쪽에서 어떻게 생각할지를 미리 헤아리고 설득하는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30% 지지율로는 각종 개혁 과제의 추진이 어렵고 총선에서도 여당이 승리하기 어렵다. 2016년 4월 총선은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갤럽 조사에서 39%로 최근 윤 대통령 지지율보다 높았는데도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이 패했다.

정부와 여당은 지지율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지만 민심의 흐름은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여론조사 전화가 오면 보수층에서 끊는 사람들이 왜 늘었는지 원인을 찾아야 한다. 아직 취임 1년도 안 된 윤 대통령의 임기는 야구 경기로 치면 9회 중에서 2회도 끝나지 않았다. 지지율을 만회할 시간은 충분히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