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 자택 '백운산방'에서 알이 꽉 찬 대구 등 세필로 그린 음식화를 들고 활짝 웃은 김외련 김형국 부부. 말기암을 이겨낸 김외련씨는 "집밥, 자연친화적 일생, 긍정심이 비결이라고 했다. /전기병 기자

“요즘처럼 화나고 우울할 때요? ‘솔 푸드(soul food)’가 최고죠. 저는 방아잎 넣고 향긋하게 끓인 장어국, 어릴 적 아버지가 한입 한입 떠넣어 주시던 복국 한 그릇이면 속이 확 풀렸어요(웃음).”

‘마산 여자’ 김외련은 약사였으나, 53세 되던 해 유방암 말기 진단을 받고 약국 문을 닫았다. 살날이 많지 않다는 생각에 ‘은퇴 후 버킷 리스트’를 앞당겨 시행했다. 여행하고, 글 쓰고, 그림 그리다 종착한 곳이 ‘밥’. ‘약과 음식은 근원이 같다’는 뜻의 ‘약식동원(藥食同源)’을 자신의 몸으로 증명해 낸 그는 “이젠 너무 오래 살까 봐 걱정”이라며 웃었다.

약 되는 밥상이 소문나자 작은 요리 교실을 열었고, 책도 출간했다. 밥 짓는 틈틈이 식탁에 쪼그려 앉아 세필로 그린 ‘음식화’는 현재 전시 중이다.

최대 조력자는 ‘마산 남자’ 김형국.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였지만 대중엔 미술 평론으로 유명한 그는, 집밥으로 암과 대적한 아내 덕에 새벽 장보기, 생선 손질의 고수가 됐다.

◇ 제철 재료 사러 새벽장으로

-말기암 선고받은 지 27년이더라.

“첫 진단 후 6개월 만에 재발했다. 암이 뼈로 전이됐다고 하더라. 유방암은 재발하면 5년 이상 생존율이 5%밖에 안 된다는데, 5% 안에 내가 들어간 것이다(웃음).”

-완치된 건가?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 완치는 아니겠지만, 발병 전보다 지금이 더 건강하다(웃음).”

-음식이 비결일까.

“좋은 의사 선생님 만나 치료받은 게 먼저다. 마침 북한산 아래로 이사 와 매일 아침 자연을 걸었다. 음식은 고용량 화학요법으로 만신창이 된 몸을 회복시키는 방편으로 삼았다. 간병인 아주머니가 끓여주는 음식은 도저히 먹을 수가 없어 내 몸 살리는 음식을 직접 만들어보기로 한 것이다.”

-약학을 전공한 것이 도움이 됐을까?

“약 되는 음식이 그리 거창하지 않다(웃음). 나는 그저 싱싱한 제철 식재료로 단순, 담백하게 만들어 먹었다. 거짓말처럼 입맛이 빠르게 돌아왔다.”

-새벽 시장을 매일같이 다니셨다고.

“제철 재료를 구해야 하니까. 집에서 멀지 않은 인왕시장을 비롯해 채소는 경동시장에서, 해물은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샀다. 고기보다 맛있다는 제철 두릅은 하루가 다르게 빨리 자라서, 세지 않고 부드러운 상품을 사려면 재래시장에 가야 한다. 한겨울에는 대구(大口) 사러 거제 외포리로, 새우젓 담글 땐 강화도로 간다. 전국 곳곳에 단골 도매상이 생겼다(웃음).”

-몸도 아픈데 어떻게 시장엘 가나.

“남편이 늘 동행했다. 바닷가에서 자라 생선이나 해물은 나보다 훨씬 안목 있게 고른다. 시장의 활기도 쇠약해진 내 몸과 마음에 에너지를 불어넣었다. ‘자식들 공부시키려고 이 추운 새벽부터 나와 있지 않냐’는 상인들에게서 다시 살아갈 힘을 얻었다.”

단순, 담백한 조리법으로 약(藥)이 되는 집밥을 만들어 말기암을 이겨낸 김외련 씨. 새해 팔순이 되는 그는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때가 지금"이라며 웃었다. /전기병 기자

◇단순, 담백해서 건강한 음식

-제철 재료만 있으면 약이 될까?

“정성 또한 약이다. 반찬 하나를 만들어도 천천히 최선을 다했다. 배를 채우려고 대강 때우는 음식, 급히 조리해 먹던 음식과는 그래서 달랐다. 옛 어머니들이 왜 음식은 정성이라고 했는지 아파보니 알겠더라.”

-양념을 최소화해 재료의 맛을 극대화한다고 했다.

“약식동원이 먼 데 있지 않다. 산약이라 부르는 마는 껍질을 벗겨 채 썬 뒤 계란 노른자 하나 올려서 왜간장에 찍어 먹으면 그대로 약이고 밥이 된다. ‘무 장사는 병이 없다’는 말처럼 무생채는 우리 집 겨울 밥상 필수 메뉴다. 사삼(沙蔘)으로 불리는 더덕은 얇게 두드려 편 뒤 찹쌀가루 묻혀 튀겨내면 맛있고 소화도 잘된다. 내 고향 마산에선 해산물에 방아를 넣어 만드는 음식이 많은데, 여름이 지날 무렵 보라색 꽃만 따 찹쌀가루 풀을 발라 말린 뒤 튀겨 튀각으로 먹기도 한다.”

-튀김은 몸에 나쁘지 않을까?

“기름을 여러 번 사용하니 나쁜 거지, 튀김은 궁중에서도 고급 요리에 속했다.”

-저기 베란다에 걸린 건 무시래기인가?

“경동시장에 가면 강원 양구에서 무시래기용으로 재배한 걸 무더기로 파는데 그걸 사다가 말리고 삶아서 국을 끓이거나 무쳐서 먹는다. 무시래기는 흉년에 먹는 구황 식품이었지만 지금은 당뇨 환자들에게 섬유질과 비타민을 제공하는 훌륭한 음식이 됐다.”

-새우젓도 직접 담근다던데.

“김치 맛은 젓갈이 좌우한다. 강화도에서 어부들이 잡아 온 왕새우를 구해 통째로 젓갈을 담근 뒤 2년을 묵혀 사용한다. 정말 고소하고 맛있다.”

-시간에 쫓겨 사는 현대인이 따라 하기란 쉽지 않다.

“나처럼 하라는 건 아니다. 음식에 대한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요리를 억지로 해야 하는 노동으로만 여기지 말고, 남녀 모두 취미로 삼았으면 좋겠다. 이 음식이 나와 가족의 생명을 살린다고 생각하면 정성을 다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세 아이 도시락 싸주던 옛날 엄마라 그런지 요즘 아이들이 편의점 음식만 먹는다는 말이 참 안타깝다.”

-’백운산방’이란 문패가 걸린 집에서 소규모로 여는 요리 교실엔 맞벌이 여성이 많다고 들었다.

“딸이 결혼해 아기 낳으면 미역국만은 내 손으로 끓여주겠다며 찾아온 커리어우먼도 있다(웃음). 내 음식은 쉽고 단순해서 누구나 배울 수 있다. 어려운 재료, 까다로운 조리법도 없다. 시장 보기부터 김장까지 함께 하며 배운다. 최근엔 의사, 교수 등 ‘중년 남학생’ 셋이 늘었다. 우리 모토가 집밥 먹기, 손님 초대하기, 남자도 요리하기다.”

-손님 초대는 귀찮지 않은가.

“귀찮음보다 즐거움이 훨씬 크니까. 맛있게 먹고 이야기 나누며 깔깔 웃고. 그게 사는 맛 아닐까?”

◇‘대구 김장’을 아십니까?

-김외련이 가장 잘하는 요리는 생선·해물이라고 하더라.

“둘 다 마산 바닷가에서 자란 ‘생선 보태기’다(웃음). 우리 증조할머니는 아침 밥상에 생선회가 없으면 상을 걷어차셨다고 한다. 생선 요리를 다들 어려워하는데, 신선도가 관건이지 조리법은 의외로 단순하다.”

-요리책 ‘밥상의 품격’에도 병어, 도미, 민어, 멍게, 대하, 총알오징어 등으로 만든 음식이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생선·해물 소비량이 일본, 노르웨이보다 많다는데도 제대로 된 생선·해물 요리책을 본 적이 없다. 그래서 어릴 때 엄마가 해주시던 음식, 결혼해 시어머니에게 배운 음식을 바탕으로 내가 응용해 완성한 레시피를 소개했다.”

-김외련의 ‘대구 요리 풀코스’는 문화예술계에 소문이 났던데.

“12월 중순부터 산란이 절정에 이르는 1월 중순까지 알이 꽉 찬 암컷 댓 마리를 사서 몸통은 통대구로 말리고 내장은 알젓과 장자젓으로 담근다. 이른바 ‘대구 김장’(웃음). 해초무침 곁들인 이리 다타키, 대파채 곁들인 알젓, 고추장 곁들인 통대구, 저냐(전), 껍질 튀김, (생)대구국, 장자젓 무침 순으로 내는데, 웬만한 식당 음식보다 낫다고 해서 아주 뿌듯하다.”

-매년 겨울엔 거제도로 대구 여행을 가신다고.

“외포항 대구 축제 기간에 생대구 판매장 견학을 겸한 일종의 음식 기행이다. 요리 교실 학생들과 KTX 타고 당일치기로 다녀온다. 대구국은 물론 제철인 아귀 요리까지 실컷 먹고 올 수 있다. 올해는 31일에 떠난다.”

막 끓인 우거지국을 든 아내 김외련과 더덕튀김을 든 남편 김형국 서울대 명예교수. 김 교수는 아내가 집밥으로 암과 대적하는 동안 새벽 장보기, 생선 손질의 고수가 됐다. /전기병 기자

◇ 생선 손질의 달인 된 ‘교수 남편’

-요리하는 아내 덕에 (김형국) 교수님은 ‘삼식이’란 구박을 면했겠다.

“내가 일찍이 느낀 바가 있어 정년 퇴임 전부터 2식으로 바꿨다. 일본 요리 교실에 다니며 생선·해물 조리법도 배웠다. 스파게티 정도는 문제없이 만든다(웃음).”

-생선·해물 손질의 달인이 됐다고 하더라.

“어릴 때 어머니 따라 새벽 어시장 가서 보고 배운 것이다. 부위별로 해체하고, 회 뜨는 것까지 우물가에서 혼자 다 해내시던 어머니를 떠올리며 나도 도전해 봤다. 수산시장 상인들 솜씨를 곁눈질로 배워서 응용도 하고(응용). 요리교실 남학생들에게 그 비법을 전수할 생각이다.”

-아내의 요리 교실 학생들에게 미술 강의도 해준다고.

“이왕이면 음식 배우며 인문학적 소양도 쌓아보라고 지인 몇을 초대해 강의를 부탁했다. 전람회도 다니고 인사동 골동 가게도 함께 간다.”

-내달 5일까지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김외련의 음식 그림전’이 열리던데, 직접 권하셨나?

“전혀. 요리 교실에 강의하러 온 고영훈 화백이 아내 그림을 보더니 전시를 권하더라. 조각가 최종태 선생도 ‘참 재미있는 그림, 못 보던 그림’이라고 했다. 덕담인지 악담인지(웃음).”

-대구, 새우, 열무 등 식재료 하나하나를 ‘머리카락 홈 파듯 그렸다’는 세밀화더라. 미술 평론가 눈엔 아내의 그림이 어떻게 보일까?

“아내의 모사(模寫)가 사진보다 더 리얼하게, 핍진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곡식 한 알에서 우주가 보인다는 말을 아내가 곧잘 하는데, 그만큼 전력으로 몰입해 본령을 그렸다는 뜻일 거다.”

-최종태의 조각상 ‘도끼 여인’을 두고 ‘부조리를 만나면 한 방 갈기겠다는 태세’라고 평했던데, 아내도 도끼 여인에 해당할까?

“도끼까지는 아니어도, 경상도 여자라 ‘예스, 노’ 양단인 건 맞다. 중간은 없다. 누가 애매하게 물어보면 바로 ‘치아삐라’가 나온다(웃음).”

-암 투병 중이라기엔 부부가 참 행복해 보이신다.

“발병 후에야 나다운 삶을 살게 됐다. 남들은 약사를 부러워하지만 나는 약국을 운영하는 게 정말 싫었다. 어릴 때부터 다양한 재능이 있었는데, 그걸 억누르고 살았던 것 같다. 암과 싸우려고 그림 그리고, 글 쓰고, 요리를 하면서 가슴에서 부글부글 끓고 있던 화가 사라졌다. 남편과도 더없이 좋다.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처럼 ‘내게 가장 좋은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웃음).”

약사에서 요리사로 변신한 김외련씨가 약이 되는 집밥 레시피를 담은 '밥상의 품격'.

☞김외련·김형국

김외련: 1945년 경남 마산 출생. 이화여대 약대를 나와 약사로 일하다 1998년 유방암 말기 진단을 받았다. 국립암센터에서 사회봉사를 하면서 ‘약식동원’을 통감했고, 2017년부터 평창동 ‘백운산방’에서 요리 교실을 열고 있다.’밥상의 품격’을 펴냈다.

김형국: 1942년 경남 마산 출생.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한 뒤 UC버클리에서 도시계획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로 한국미래학회장을 지냈다. ‘장욱진’ ‘김종학 그림 읽기’ ‘하늘에 걸 조각 한 점’ ‘박경리 이야기’ 등 비평서를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