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DB

20년 전에 나온 작가 김훈(76)의 산문집 제목은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다. 덧붙일 말이 별로 없다. 너는 왼쪽이냐 오른쪽이냐, 내 편이냐 아니냐. 좋아지기는커녕, 악화됐다는 사실을 우리는 지난 세월로 알고 있다. 종교보다 정치 성향 차이가 연애·결혼 불가의 1번 이유더라는 보건사회연구원의 4000여 명 면접 조사 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이제는 같은 진영끼리도 누구 편이냐로 사생결단이다. 수박이냐 아니냐, 우리 팬덤이냐 아니냐, 밀정이냐 아니냐.

20년이 흘러 작가가 이번에 펴낸 산문집 제목은 ‘허송세월’. 그렇게 헛되이 시간만 흘러간 걸까. 이 주제만으로 일관한 책은 물론 아니지만, ‘적대하는 언어들’이란 제목의 짧은 글이 그 안에 있다. 주인공은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임화(1908~1953)다. 일제강점기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최고봉. 서울이 고향이지만 그는 1947년 ‘사회주의 조국’ 평양으로 월북했고, 6·25 당시 인민군이 남하할 때 낙동강 전선까지 종군(從軍)한 확신범이다. 하지만 휴전 직후였던 1953년 8월 그는 ‘미제의 스파이’라는 죄목으로 사형당한다. 사회주의 조국에서 그는 ‘밀정’이었다.

작가가 인용한 임화의 시 두 편이 있다. 6·25 때 인민군이 불렀던 ‘인민항쟁가’가 그중 하나다. ‘원수와 더불어 싸워서 죽은/ 우리의 죽음을 슬퍼 말아라/ 깃발을 덮어다오 붉은 깃발을/ 그 밑에 전사를 맹세한 깃발’. 강력한 이념성과 폭발적인 선동력. 두 번째 시의 제목은 ‘바람이여 전하라’다.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전쟁의 참화를 겪고 돌아와 평양에서 발표한 작품. ‘불붙는 휘발유와/ 쏟아지는 총탄 속을/ 집과 낫가리와 마을까지를 잃고/ 바람 속에 서 있는 어머니에게…’ 혁명에서 인간으로, 이념에서 어머니로 시선을 돌리는 순간에 그의 죽음은 예비되어 있었다고 작가는 건조하게 적는다. 더 이상 내 편이 아니었을 때, 임화는 후방 인민을 모욕하고 패배주의적 감정과 투항주의 사상을 유포한 인민의 적이 되어 목숨을 잃었다.

어머니보다 이념을 우선해야 생존할 수 있는 삶이라니. 신물이 난다. 너는 어느 쪽이냐고 캐묻기보다, 광복절이냐 건국절이냐를 따지기보다, 우리에게 중요한 건 먹고사는 문제 아니었던가. 오래된 거리처럼 뭉근히 사랑하고, 아이와 조금 더 놀아주지 못해 아쉬워하는 하루하루가 인생이어야 하지 않을까.

우울한 이야기만 하고 싶지는 않다. 거대한 편 가름의 사회에서 극히 사소하고 순진한 반례일지 모르지만, 최근 색다른 칼럼 릴레이가 있었다. 장대익 가천대 교수의 8월 9일 자 조선일보 칼럼에 대해, 강준만 전북대 명예교수가 8월 14일 자 경향신문 칼럼으로 호응한 것이다. 주제는 이념이 아닌 일상. 도파민 유발하는 자극적 유튜브 생태계를 우려하며 좀 더 많은 지식인이 유튜브에 참여하자고 장 교수가 제안하자, 강 교수가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지식인들이 유튜브 생태계로 쉽게 이주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적 혁신 이야기로 화답한 것이다. 문재인 정권 이후 진보 진영을 주로 비판한 강 교수는 요즘 그 진영의 극단주의자들에게 ‘배신자’로 비난받고 있다. 김대중·노무현 정권 당시 ‘네 편 내 편’의 선봉이었던 논객 강준만을 떠올리면 아이러니지만, 지적 게으름과 지적 불성실로 여전히 너는 누구 편이냐만 묻고 있는 나태한 지식인들보다는 희망의 씨앗을 발견할 수 있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나는 문득 지난 5월 세상을 떠난 시인 신경림(1935~2024)의 말을 떠올렸다. “나는 좌든 우든 믿지 않아. 성실한 놈만 믿어.”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