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을 한 달 앞둔 2020년 3월 열린민주당이 창당됐다. 소수 정당의 국회 입성을 쉽게 만든 새로운 선거 제도(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고 급조된 정당이었지만 이들은 “민주당이 중도화·보수화하고 투쟁을 하지 않는 부분을 비판하기 위해 창당했다”고 주장했다.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에 이어 민주 정부의 정통성을 잇는 당을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지만 창당 2년도 되지 않은 2022년 1월 민주당과 합당했다. 남은 건 자질 시비 논란을 일으킨 열린민주당 출신의 최강욱·김의겸 민주당 의원뿐이었다.
역시 지난 총선을 한 달 앞두고 시대전환도 창당됐다. 이들은 “진보와 보수라는 양대 정당의 진영 논리, 정치공학적 계산을 앞세운 이합집산 등 기성 정치를 판갈이하겠다”고 창당 포부를 밝혔지만 역시 창당 3년 만인 이달 국민의힘과 합당했다. 남은 건 시대전환에서 당적이 바뀐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뿐이다.
20대 총선을 두 달 앞둔 2016년 2월에도 안철수 의원 주도로 ‘새정치’를 표방하는 국민의당이 창당됐다. 국민의당은 “성찰적 진보와 합리적 보수의 융합”을 내세우며 거대 양당제의 폐해를 극복할 수 있는 제3 세력을 자처했지만 창당 2년 만에 해산했다. 국민의당은 당시 새누리당 비주류가 창당한 지 1년 된 바른정당과 합당했다. 이렇게 2018년 바른미래당이 창당됐지만 이마저도 2년 만에 새로운보수당, 민생당 등으로 공중분해됐다.
역대 총선을 앞두고 ‘떴다방’처럼 뜨고 졌던 신당들의 개수는 헤아릴 수 없다. 내년 22대 총선을 앞두고 또다시 신당이 꿈틀대고 있다. 이제는 과거 제3 신당들의 단골 레퍼토리였던 ‘양당제 극복’ 같은 형식적인 명분도 내세우지 않는다. ‘이준석 신당’은 ‘윤핵관’들에 대한 복수심밖에 없어 보이고, ‘조국 신당’은 1심에서 징역 2년 실형을 받은 조국 개인의 명예 회복을 노골적으로 내세운다.
민주당 이탄희 의원을 비롯한 일부 시민 단체들은 “거대 양당이 비례대표에 들어가지 않고 다양한 정당이 의석수를 가져가게 하는 게 현행 제도”라며 내년 총선도 지난 총선처럼 현행 제도로 치르자고 주장한다. 다양한 소수 정당이 국회에 들어오고 사안별로 연합 정치를 하면 양당제 폐해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런데 그 제도로 총선을 치렀던 현재 국회도 여전히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양당제 아닌가. 내년 총선이라고 결과가 다를까. 국민의힘과 합당을 반대했던 시대전환의 초대 대표는 “새로 만든 우리 당이 하면 다를 것이라는 생각은 망상이었다”며 “주변을 둘러보니 모두가 권력을 잡기 위한 레이스에 돌입하고 있다”고 했다. 저마다 정치 개혁 같은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우지만 결국 신당의 진짜 목적은 따로 있다는 것이다. 과연 4년 뒤에도 신당들이 남아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