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6·25전쟁 중 대구로 피란한 열세 살 소년 이야기다. 이따금 멀리서 쿵쿵 하는 포성이 들리던 1951년의 깜깜한 밤, 소년은 온 동네를 헤매고 있었다. 집에서 쓰러진 어머니를 동생에게 맡겨둔 채 의사를 찾아나선 것이다. 한참 헤맨 끝에 의원 한 곳을 찾았고, “제발 좀 도와달라”며 닫힌 문을 두드렸다. 중년의 의사가 자초지종을 들은 뒤 왕진 가방을 들고 따라나섰다. 이사 온 지 이틀밖에 안 된 소년은 집도 못 찾고 발만 동동 굴렀다. 의사는 “골목에 뭐가 있었느냐. 대문은 무슨 색이냐” 물으며 함께 집을 찾았다.

어머니를 진찰한 뒤 주사를 놔준 의사 선생님. 곧 괜찮아지실 거란 말에도 아이는 눈물만 흘렸다. “선생님. 조금만 더 계셔주세요.” 소년이 애원하자, 막 일어나려던 의사가 웃으며 다시 앉았다. “몇 살이야? 어디서 왔어?” 그렇게 한참을 더 어머니 곁을 함께했다. 의사는 소년을 다시 의원으로 데려가 약을 챙겨주면서 약값도 받지 않았다. “피란살이도 어려운데 됐다. 가서 어머니만 잘 보살펴”라고 덧붙이면서. 소년은 약 봉투를 들고 집에 오는 내내 울면서 ‘나도 꼭 이런 의사가 돼야겠다’고 다짐했다고 한다.

74년 전 그 소년이 김동건 아나운서다. 그는 “이후 ‘의사’란 말만 들으면 늘 그분이 떠올랐다”며 “80년 넘게 살면서 그런 훌륭한 의사를 많이 만났고, 그분들을 존경한다”고 했다.

흘러간 옛이야기가 아니다. 지금도 많은 이에게 의사는 그런 존재다. 태어나자마자 한 달 넘게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은 필자의 세 살배기 딸에게도 마찬가지다. 많은 의사는 여전히 “진료실에서 환자의 회복을 지켜보며 가장 큰 보람과 행복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사람은 일생에서 수많은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지만, 몸을 맡기고 생명을 구해주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특별하다. 이들의 관계를 받쳐주는 것은 ‘신뢰’다. ‘라포(rapport)’라고도 하는 그 신뢰 관계가 정서적 유대를 넘어 치료의 결과까지 좌우한다.

그런데 1년 가까이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그 신뢰가 깨지고 있다. 최근 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선 ‘환자들이 본인(의사)을 신뢰한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그렇다’는 응답이 54.6%로, 2년 전보다 12.8%포인트나 떨어졌다. ‘신뢰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2.4%에서 8.0%로 급증했다. 눈엔 보이지 않는 소중한 사회적 자본이 훼손된 것이다.

일부 의사의 도 넘은 막말과 전공의 블랙리스트, 의사 집단 전체를 향한 비난 댓글은 의사와 환자 간 불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고개를 조금만 돌리면 지금도 수술실을 지키는 의사, 그들에게 고맙다며 연신 고개 숙이는 환자들을 본다. 감정은 추스르고 눈앞의 의사와 환자를 봐야 한다. 한번 무너진 신뢰는 다시 회복하기 어렵고, 그 피해는 환자, 의사, 나아가 국민의 몫으로 불어나기 때문이다. 신뢰를 지켜내는 것이 의정 사태 해결만큼 중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