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김하경

교육부가 앞으로 5년간 1000억원씩을 지원할 ‘글로컬 대학’ 30여 곳 중 우선 10곳을 발표했다. 글로컬대 사업은 역대 최대 규모(3조원)의 지방 대학 지원 사업이다. 변화를 선도해야 할 대학이 우리나라에선 가장 변화를 거부하는 집단이었다. 이 사업이 대학 사회에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이번에 선정된 대학들이 내놓은 계획은 신선한 내용이 적지 않다. 강원대와 강릉원주대는 ‘1도 1국립대’를 만들어 춘천·원주·강릉·삼척 등 4개 캠퍼스를 특성화하기로 했고, 울산대는 인근 산업 단지마다 6개 캠퍼스를 조성하는 ‘찾아가는 대학’을 만들기로 했다. 순천대는 스마트팜 등 3대 특성화 분야를 중심으로 학과를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 국립대들이 통합(8개가 4개로)하거나 기존 학과 전면 개편에 협력하는 등 대학·교수의 ‘기득권’을 내려놓은 곳들이 대부분이다. 정부 지원과는 별도로 지자체들도 대학에 250억~1800억원까지 내놓기로 한 것도 의미 있는 일이다.

국내 대학들은, 특히 지방 대학들은 저출산에 따른 학생수 감소와 취약한 재정 등으로 존폐 위기에 놓여 있다. 글로컬대 선정은 대학 소멸 시대에 살아남을 사실상 마지막 기회일 것이다. 교육 문제는 사람들이 집 값 비싸고 생활비 많이 드는 서울을 선호하는 큰 이유 중의 하나다. 지방에서도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면 서울 집중 현상 완화는 물론이고 장기적으로 저출생 극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지방의 자생력을 키우는 데 대학의 존재와 역할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교육부는 이번에 지역 안배를 하지 않았다고 했다. “지역 발전을 이끌 수 있는 혁신성을 보고 뽑았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계속 이 원칙을 지켜야 한다.

이 사업의 성패는 결국 각 학과 교수들이 기득권을 내려놓고 과감한 변화에 동참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미 통합되는 대학 등에서는 반발이 적지 않다고 한다. 변화에 저항하며 기득권을 지키려는 대학은 과감하게 선정을 철회하고 지원금을 회수해야 한다. 이번 지원 사업에서 탈락하는 대학 중 상당수는 독자 생존이 어려울 것이다. 이런 대학의 퇴로 마련을 위한 사립대 구조 개선법도 늦기 전에 처리해야 한다.